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 - SF 작가 최의택의 낯설고 익숙한 장애 체험기
최의택 지음 / 교양인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천성 근이영양증을 앓고 있는 최의택작가님의 에세이 <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을 읽으며 김초엽작가님의 추천사는 찰떡이다. ‘장애을 가진 SF작가에 대한 기대를 슬쩍 재치 있게 내보이다가, 모른 척 툭 손에서 떨궈버린다.’라고. 어릴 적 똥꼬발랄했던 작가님의 무용담(?)과 사춘기 시절의 모습, 학교를 그만두고 집에 있던 모습. 담담하게 이어지는 내용을 읽다 보면 저자는 절대 감정의 소용돌이 빠지게 두지 않는다. 해외 직구한 이야기를 읽을 때는 나도 도전해보고 싶은 용기가 생겼고, 박소담배우님을 향한 찐덕질의 스멜을 맡을 땐 살짝 부럽기까지 했으니.

 

장애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나 저자 본인의 인식변화는 에세이를 읽으면서 더 깊게 느낄 수 있었다. 장애인이 그냥 배경이 되어도 되는 사회, 모두 드러내 놓고 활보하는 서로 보통의 존재가 되는 사회를 꿈꾸게 된다. 작가님의 활발한 나대기를 기대하게 되기도.

 

나는 사실 작가님의 작품을 읽어 보지 못했는데 에세이를 읽으며 궁금해졌다. 내가 평소 어려워하는 분야인 SF라는 장르 소설을 쓰는 작가의 마음을 알아버렸기 때문일까. 그가 느끼는 경이감을 작품을 통해 느껴보고 싶다. 최근에도 SF소설을 읽고 좌절했기에 더욱 그렇다. 나의 납작한 상상력에 찬물을 끼얹어 주신 작가님께 고마움을 표하고 싶은 책 <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이다.

 

왜 어떤 사람의 인생은 스스로 내리치는 철퇴로 산산조각 내는 것이 최선일 수밖에 없을까. 물론 나의 경우는 악화된 건강 때문에 그나마 진보된 사회의 보조조차 의미가 없어진 경우이긴 하다. 그러나 스스로에게 철퇴를 가하는 사람은 나뿐만이 아니다. 그리고 이것이 꼭 장애인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도 아니다. 사회의 틀 바깥으로 떠밀리다 못해 끝내 스스로 뛰어내리는 사람들은 지금도 존재한다. (p.34)

 

스위스로의 가족 여행. 예상 비용, 넉넉하게 5천만원. (p.79)

 

우리가 장애인으로 분류되는 이유가 정말 우리에게 장애가 있기 때문일까? 혹시 우리가 장애인이 되게 하는 데 모종의 동일한 압력이 가해진 건 아닐까? 그래서 불가피하게 유사한 환경에서 유사한 경험을 하게 된 결과 이 모든 개별자가 장애인이라는 분류로 수렴된 건 아닐까? 최소한 이 장애인이라는 꼬리표를 우리 손으로 만들어 단 것은 아닐 테니 말이다. (p.87)

 

내가 나의 장애를 수용하겠다는 것의 진짜 의미는, 선천성 근이영양증을 앓는 탓에 생긴 제약과 사회적 장애 경험을 딛고 앉아서 장애인으로서 나의 삶을 주도하겠다는 뜻이다.

더는 나의 장애를 외면함으로써 나의 일부를 지우지 않고(그래, 나 장애인이다), 타인에 의해 규정되는 것에 저항하고(나는 장애인이길 거부한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세상으로부터 나 스스로를 유리시키지 않겠다는 뜻이다(따라서, 다시 나댈 것이다). 그러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이다. 당연히 이 에세이 작업 또한 나의 장애 수용의 일환이다. (p..93~94)

 

어떤 이름으로 불리는가에 대한 건 어쩌면 사소한 문제일지 모른다. 내가 장애인일 뿐이든, 장애가 있을 뿐이든, 오늘 나에게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오늘을 나로서 내가 선택한 대로 사는 일이다. (p.158)

 

경이감.

이것이, 내가 SF를 쓰는 이유다. (P.195)

 

사람들이 나에 대해 장애라는 따옴표를 씌우고 본다고 아쉬워하는 나조차도 장애라는 따옴표를 어쩌지 못해 고민하는 현실이라니. (p.281)

 

왜 장애는 소재가 되면 안 되는데요? 그것도 결국 배제이고 차별이 아닌지요? 장애는 빌어먹을 성역 같은 게 아닙니다. (p.281)

 

-책속에 나온 읽어 보고 싶은 소설

<블랙랜드> 벨린다 바우어

<서부 해안 연대기> 어슐러 K.르 귄

<궤도의 밖에서, 나의 룸메이트에게> 전삼혜

 

@gyoyanginbooks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