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섬 밥상 - 해녀 밥상에서 공동체 밥상까지, 섬 음식 인문학
강제윤 지음 / 어른의시간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섬 활동가인 저자는 섬을 기록하고 섬 주민의 기본권 신장을 위해 일하고 있다. 천연기념물을 지키고, 여객선이 다니도록 돕고, 전국 섬에 흩어져 있는 걷기 길을 하나로 모으는 백섬백길이라는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섬 학교를 세워 매월 1회씩 섬 답사를 진행하여 섬 여행의 지평을 열었다. <책날개 소개>

 

섬에서 나고 자란 저자는 섬을 떠난 뒤에도 섬을 돌아다니며 섬의 역사와 문화, 섬 음식을 기록해 온 지 20여 년째이다. 식당이 없는 섬에 가도 밥을 굶지 않는다. 섬에 사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밥 먹고 가라라고 한다. 저자의 말대로 섬의 민박에서 묵은 저자의 밥상은 정말이지 인심 좋게 푸짐한 한 상이다. 그 상을 보면 그네들의 삶과 객을 따뜻하게 맞이하는 환대가 느껴진다.

 

-신안섬의 바옷’,‘독옷이라고도 하는 바위옷은 바위에 이끼처럼 붙은 해초인데 이것을 긁어다 묵을 고았는데 신안 섬의 전통음식이라 한다. 바옷묵은 새신랑마저 염치를 잊게 할 정도로 유혹적인 맛이라고 하니 더욱 궁금함이 더해진다.

-욕지도 관광 안내 책자 등에는 욕지欲知란 이름의 뜻을 알고자 하는으로 풀이해놓고 있다. 욕지도의 뜻은 연화도, 두미도, 세존도 등 주변의 다른 섬들과 연계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욕지연화장두미문어세존이라는 불경구절에서 따온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도 놀라웠다.

-완도 황간도에서는 몸이 허약해서 코피를 자주 흘리는 사람에게 생문어와 팥을 고아 먹여 코피를 멎게 했다고 한다.

-죽도에는 별신굿은 남해안 별신굿보존회와 죽도 마을 주민들이 의기투합하여 전승될 수 있었다. 현재는 문화재청과 통영시의 지원으로 존속되고 있다. 주민과 관객이 하나가 되어 대모에게 소원을 빌고 덕담을 듣는다고 한다.

-여수 허화도는 섬을 꽃으로 장식해 상징화하여 관광객을 불러들인다. 관광수입으로 모든 주민의 삼시 세끼를 부녀회에서 마을식당에서 해결한다. 고령화된 섬에서 한 끼의 식사는 매우 소중하다. 관광객이 몰려들어서 섬의 공동체가 파괴된 경우가 많은데 현명한 선택으로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여수에 나가 살고 있는 이들도 고향섬으로 돌아와 살겠다고 한다. 이것이 진정한 마을 살리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토종홍합은 맛이 아주 달고 수심 깊은 바다에서 자생해서 다이버나 해녀들이 잠수하여 손으로 채취했다고 한다. 보통 어른 손바닥 만하다. 토종홍합은 지역에 따라 합자, , 열치, 담치, 참담치, 잠채, 섭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옛날에는 동해부인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고 한다. 조개의 이름으로 동해부인이라니!!

 

 

이 외에도 흑산도에서는 삭힌 홍어는 안 먹다는 이야기, 오징어, 민어, 통영의 비빔밥 등 입에 침이 고이게 하는 음식 이야기들을 품은 섬들이 있다. 처음 들어보는 낯선 이름의 섬들도 많고 익히 들어보았던 이름들도 있다. 섬이라는 고립된 공간에서 긴 세월을 지내온 사람들의 옛이야기와 지금의 이야기들이 어우러져 새로운 세계로 초대된 듯하다. 섬에 가면 소박하고 따뜻한 환대가 나를 기다릴 것 같다. 올가을엔 섬에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찬바람이 불면 해산물이 맛있어진다. 이제 섬에 갈 때이다. 책과 지도를 펼치고 어디로 떠날지 고민해 봐야겠다.

 

@chae_seongmo @yodabooks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