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의 힘 - 위기와 기회의 시대, 사고의 틀을 바꿔 문제의 본질을 꿰뚫어라
케네스 쿠키어 외 지음, 김경일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키백과에 정의를 따르면 프레임이란 인간이 성장하면서 생각을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생각의 처리 방식을 공식화한 것을 뜻한다. 저자는 프레임을 심성모형으로 표현하며 다른 동물들이나 인공지능이 결코 흉내낼 수 없는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고유 능력이며 지금까지 기술의 발전의 기본 토대라고 주장한다.


프레임 형성의 근간으로 인과적 생각, 조건부적 사고, 제약조건을 말하고 있으며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영역까지 인지의 범위를 확장한다.


인과적 생각은 원인과 결과의 형태로 세상을 바라본다. 이 능력으로 인해 미래의 일을 예측할 수 있다. 경험적인 사고뿐만 아니라 원인과 결과를 이어주는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원인과 결과를 유추하고 구체화한다. 한 시대의 사고와 사상을 지배하는 패러다임이 마치 왕조가 바뀌듯이 깨지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뀌는 이치다.


조건부적 사고는 무작위적인 의식의 흐름이 아니라 초점이 분명하고 목적지향적이다.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가지고 있지 않는 정보를 상상한다. 화성을 지구와 비슷한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려면 과학자를 비롯한 일론 머스크의 테라포밍 방법은 비록 시도되지 않았지만 가지고 있는 화성의 정보를 통해 가지고 있지 않은 테라포밍 정보를 조건부적 사고를 통해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검증을 거쳐 가며 구체화 된다.


제약조건이 없다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 무수히 많아진다. 프레임 형성은 제약조건을 바탕으로 인지에 대한 이해에서 중요한 행동의 기초에까지 이른다. 또한 제약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우리가 상상하는 대안을 해결에 가깝게 가져갈 수 있다.


제약조건을 임의로 동시에 여러 개를 건드리면 어떤 제약조건이 인과 관계에 영항을 주는지 알 수 없는 실수를 인생을 살아오면서 많이 했던 것 같다. 급한 마음에 빠른 해결을 위해 여러 개의 제약조건을 건드렸다가 시간을 낭비하는 실수를 많이 했다. 저자는 이런 이유로 최소 변화 원칙을 강조한다.


이외에도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법, 학습을 통해 프레임을 형성하는 법에 대해 유익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잘 형성된 프레임은 우리의 사고를 효율적으로 도와주지만 새로운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항상 유연하게 프레임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