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저널리스트 : 카를 마르크스 더 저널리스트 3
카를 마르크스 지음, 김영진 엮음 / 한빛비즈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다가 살다가 내가 마르크스에 대한 책을 읽는 날이 올 줄이야!!" 이렇게 말한 이유가 민주주의 국가에 살고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그렇듯, 공산주의나 사회주의에 대한 이미지가 좋은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산주의 사회주의로 유명한 마르크스에 대한 책을 읽다니... 사회시간에 마르크스에 대해 나올 때엔 꼭꼭 졸았는데 말이다. 걱정 반 고민 반으로 <더 저널리스트 카를 마르크스> 를 폈다.

 
그는 어쩌다가 공산주의자가 되었을까? <더 저널리스트 카를 마르크스> 가 저널리스트인 마르크스에 포커스를 두었긴 하지만 그 배경에도 궁금증이 갔다. 독일에서 태어난 그는 어렸을 때 법을 공부하고 박사까지 땄다. 그 후 공산주의 선언을 작성하게 된다. 그 시대만 해도 영국이 한창 여성과 아동 노동자들을 착취해 산업발전을 이루는 시대였다고 한다.

책의 구성이 참 독특했다.1853년 10월 17일 파업에 대한 뉴욕 데일리 트리뷴의 기사 등 기사를 위주로 구성되어있는 책이다. 1852년 부터 1859년까지 17편으로 구성된 1부와 1847년 마르크스가 노동자를 위해 강의를 준비한 내용과 49년 이것을 글로 옮겨 다섯번의 기사로 연재한 것을 2부로 나눠서 실려있다. 기승전 마르크스와 그의 사상에 대한 기사에 대한 <더 저널리스트 카를 마르크스>. 엄청 얇은 편의 하드커버로 구성된 책이다. <더 저널리스트 카를 마르크스> 의 엮고 옮긴이가 미국 듀크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오셔서 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다. 대단히 적은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이 책을 만들어내다니.어휘와 글의 선택, 번역에 있어서 최대한 진정성을 지키려고 노력한 엮은이에게 박수를 보낸다.

중국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외부 세계와의 완전한 단절이 필수 조건이었다.

(p.43)

 
<더 저널리스트 카를 마르크스> 는 마르크스 사상에 관심이 많은 독자에게 좋은 책이 될 것 같다. 경제를 공부할 때 빠지지 않는 마르크스에 대해 이렇게 읽어볼 기회가 생겨서 다음에 경제학을 공부할 때 이해가 잘 될 것 같다. 깨알 같이 많은 글씨 중에 볼드체로 중요한 어휘나 단어가 표시가 되어있어서 시간 없는 사람에겐 핵심만 읽어볼 수 있어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한다. <더 저널리스트 카를 마르크스> 를 읽고나니 마르크스를 다음 책에서 만나면 더이상 피하거나 지겨워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상을 불문하고 똑똑한 그가 경제학에 미친 영향은 어마어마하니까 말이다.

자본은 임금노동을 전제로 하며,

임금노동은 자본을 전제로 한다.

(p.1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