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 국부론 - 번영과 상생의 경제학 리더스 클래식
이근식 지음 / 쌤앤파커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았고, 경제도 선택과목이 아니어서 경제와는 멀게 살아왔다. 대학와서 경제학 개론 정도 수강한 것이 그나마 나와 경제학의 인연이라하면 할 수 있을 정도였다. 고전 중에 유명한 <국부론>이 읽고 싶던 차에 쌤앤 파커스에서 나온 책을 선택했다. 무엇보다 컴팩트한 사이즈와 무게에 반했기 때문이다. 이동할 때 어디든 넣어갈 수 있는 무게의 고전이라니!
<국부론>으로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경제학이 시작된 것을 아는 사람은 전공한 사람 아니면 많지 않을 것 같다.

 

 <애덤 스미스 국부론>은 처음부터 스미스의 생애에 대해 나온다. 솔직히 나는 처음부터 어려운 내용이 나올 것이라 예상했다. 찻 주전자에 버터 바른 빵을 넣고 마신 차를 두고 '이렇게 맛 없는 차가 있냐'는 부분에서 천재의 어리숙한 부분에 혼자 많이 웃었다. 그는 싱글로 살다가 돌아가셨다는데 왠지 나랑 비슷한 것 같아서 더 집중해서 읽었다. 글을 쓴 애덤 스미스에 대해 알고나니 국부론에 대해 더 잘 이해가 되는 것이었다.

 

 고전에 대한 예의를 지킨다고 혼자 종이와 펜을 꺼내고 집중해서 적으면서 읽었다. 스미스의 생애에 대해 읽고나면 자본주의의 기원과 흐름 그리고 국부론에 대해 읽을 수 있다. 나같은 경제 문외한에게도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아직도 기억이 나는데, 그것은 개인이 각자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 자기도 모르게 사회를 발전 시키는 신의섭리이다. 스미스의 먼저 나온 책인 <도덕경제학>의 마지막 법학 후반부의 정치경제학을 발전 시킨 책이 <국부론>이다. <국부론>이라는 것은 '국가의 부의 본질과 원인에 대한 탐구'가 원제목이라, 이 책의 주제가 경제 발전의 요인과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사람은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는데, 남들이 우리를 인정하려면 다른 무엇도 아닌 부와 권세를 본다. 그러기에 우리가 부와 권세를 추구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스미스의 경제학은 인간 본성에 대한 정확하고 깊은 이해를 토대로 한 것이었다. <국부론>을 읽은 데서 끝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토대로 '무엇을 배울 것인가?'하는 부분도 인상 깊었다.
고전을 읽고 싶은 독자에게, 경제학을 선택해 공부할 독자에게 <애덤 스미스 국부론>을 적극 추천하고 싶다. 고전이라면 한없이 지겹고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을 깨주는 멋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