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아 아, 사람아!
다이허우잉 지음, 신영복 옮김 / 다섯수레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가을이다. 사람들은 이제 올 겨울을 준비하는 비장한 마음으로 가을을 맞는다. 겨울은 인생의 시련기다. 살아남아야 다음 봄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일까?

연애 소설이라고 들었다. 평소에 연애 소설을 싫어하는데 이 책 만큼은 인상적이었다는 말을 듣고 , 역자가 신영복씨였기에 읽게 되었다.

특이한 글의 짜임이 먼저 눈에 띈다. 각 인물들이 독백하는 듯이 전개되고 있었다. 중국의 문화 혁명기의 대학생들의 삶과 그 하나 하나의 인생관 그리고 피할 수 없는 우리의 인생이 보였다.

우리의 80년대가 저 정도였을까? 우리도 정치의 현장에 있었다. 치열하게 우리 각자의 삶위에 나라의 민주화를 최선으로, 아니 사명으로 놓았었다. 서로에 대한 비판은 있었어도 이토록 처절했다는 생각은 아니었다. 고문과 저항과 ...... 아마 우리의 50~60년대의 풍경이 이외 같았겠지. 황석영의 <손님>을 읽으며 느꼈던 전율, 어둠이 손유에에게서 그녀가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풍긴다.

40대에 이른 그들의 사랑과 사상을 보며 참 많이 공감도 하고, 나를 보는 듯 답답하기도 했다. 중국의 역사와 그들의 삶에 대한 리얼한 표현이 나를 감동시킨다. 그렇다 좋은 글이란 이렇게 우리를 그대로 옮겨놓는 것이다.

손유에에게 놓인 앞길이 평탄하길 바라며, 하룻 밤에 읽는 중국사를 샀다. 중국을 제대로 알고 싶은 충동을 일게 하는 다이호우잉 여사... 다시 한 번 읽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