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어 올리버
올리버 색스.수전 배리 지음, 김하현 옮김 / 부키 / 2025년 8월
평점 :
두 신경과학자가 나눈 우정, 감각,
그리고 인생의 두 번째 시선.
세상이 하찮게 여기는 연약한 존재들을 위해
자신의 천재적 재능을 아낌없이 쏟아부은
의사이자 신경학자,
전 세계가 사랑한 ‘의학계의 시인’ 올리버 색스.
그가 남긴 마지막 편지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0년이 된 지금
우리 앞에 도착했습니다.
편지의 수신인은 반평생을 사시이자 입체맹으로 살다가 마흔여덟 살에 처음 세상을 입체로 보게 된 신경생물학자 수전 배리입니다.
수전이 자신의 경이로운 시각적 체험을 글로 써서 보내면서 시작된 두 사람의 필담은 올리버가 눈을 감기 직전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런데 수전의 첫 편지에 올리버가 응답하며
둘의 우정이 싹튼 그해 겨울,
올리버는 안구 흑색종을 진단받고
시력을 잃기 시작합니다.
한 사람이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에
눈 뜨는 동안,
다른 한 사람은 익숙하던 자신의 세계를
상실해 간 것입니다.
그럼에도 올리버는 수전이 느끼는 기쁨과 환희를 곁에서 지켜보며 책으로 써 낼 수 있도록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수전은 자신이 올리버를 도울 방법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에 상심하면서도, 그 슬픔에 잠식당하지 않고 기어이 그를 위로할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두 사람은 인간이 지닌 신경 가소성과 회복의 힘을 굳게 믿었고, 마지막 순간까지 용기와 유머를 잃지 않았습니다.
<디어 올리버>는 그렇게 10년간 150통이 넘는 편지를 주고받으며
서로에게 세상을 다르게 보는 법을 가르쳐 준
두 신경과학자의 서간집이자,
이제는 홀로 남겨진 이가 먼저 떠난 이를 추억하고 그리워하며 써 내려간 회고록입니다.
부치지 않을 뻔했던 편지 한 통에서 시작된
올리버 색스와 수전 배리,
두 신경과학자의 우정과 지적 모험.
"진정한 친구란 서로에게 세상을
다르게 보는 법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다."
올리버와 수전은 20년이라는 나이 차가 무색하리만치 닮은 점이 많았습니다.
수영과 음악을 좋아하고,
동식물 관찰하기를 즐기고,
평소엔 수줍음이 많지만 관심 가는 주제에는 집요하리만치 열정적으로 파고들며,
말로 할 때보다 글로 쓸 때 더 생각이 잘 풀렸습니다.
이들에게 편지는 소통의 수단일 뿐 아니라
아이디어와 영감을 발전시키는 글쓰기의
필수 요소였습니다.
무엇보다 이들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고 무심코 지나치는 것들을 관심과 애정을 갖고 바라보았습니다.
두 사람의 필담은
자연스레 과학과 의학에서 취미와 사생활에 이르기까지 온갖 주제를 넘나들며 펼쳐지는데,
그 중심에는 감각과 지각, 인식의 다양성이 있습니다.
이들의 시야는 눈으로는 장갑을 알아보지 못해도 장갑을 손에 낄 수는 있었던 P 박사,
기억상실증에 걸려 자신이 바흐를 안다는 사실은 잊었어도 바흐의 푸가를 연주할 수는 있었던 음악가,
앞을 보지 못하지만 촉각을 통해 연체동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파악한 진화학자 등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하고 이해한 사람들,
그리고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적 생명체들에까지 확장됩니다.
과연 ‘본다’는 것,
‘듣는다’는 것은 무엇인지,
머리로 아는 것과 몸으로 감각하는 것,
행동으로 아는 것이 어떻게 다른지를
과학자의 언어와 생생한 삶의 언어를 모두 동원해 탐구하며, 우리가 당연하게 누리는 것들이 결코 당연하지 않음을, 경이로운 선물이자 축복임을 깨닫게 합니다.
나이가 지긋한 두 학자가 사소한 것에도 아이처럼 눈을 반짝이고, 놀라워하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노라면 좋은 친구와 나누는 대화가 우리의 감각, 감정, 사고를 얼마나 풍요롭게 만드는지 알 수 있습니다.
“투병 중에도 다정함을 잃지 않고
지적 항해를 계속하는 색스 박사와 슬픔에만
침잠하지 않는 위로를 보내는 수”(남궁인 의사, 작가)의 우정어린 편지를 따라가다 보면,
독자들도 어느새 그들의 호기심과 열정, 삶을 향해 열린 태도에 스며드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디어올리버 #수전배리 #올리버색스 #부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