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가부터 기후와 역사라는 주제에 파 묻혀 책을 읽고있다. 책을 정리하면서 뭔가 그럴싸한 주장을 하고 싶은데 폼나고 약간 오글거리는 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역시 기초이론이 약해서인가. 그래서 3월 초반에 독서주제를 기초이론으로 가라타니, "가라타니 고진"의 [세계사의 구조]라는 책으로 오게 되었다. 읽을수록 당연해 보이는 주장을 이렇게 멋있는 글로 완성해서 이론을 만들어 내는 힘에 놀랐다. 그리고 책을 읽다가 많이 찔렸다. 나는 마르크스의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구축한다'는 한 문장에 심취해 있고 그 문장을 통해서 역사를 들여다 보고 있다. 그런데 저자가 한 마디 한다.


사적유물론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자는 [자본론]을 충분히 읽지도 않고 "생산양식"이라는 개념을 되풀이했을 뿐이다.


하긴, 자본론은 읽다가 포기하고 남이 해석해 놓은 책 몇 권 대충 보고말았으니 제대로 알지 못함이 틀림없다. 그렇다고 자본론을 읽으란 말인가?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구축한다는 말에는 심취해 있지만 자본론은 어려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5-03-03 2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가라타니 고진 <세계사의 구조> 보관함에 있는데, 좀더 말씀해 주시지...아쉽.
얕은 경제학 공부를 하는 데조차도 자본론을 안 읽을 수 없겠구나 절감하고 자본론은 죽기 전에 읽어야 될 책 31에 챙겨두고 있습죠^^;
자본론보다는 마르크스의 철학이 저는 더 궁금해지더군요. 문장력이 정말_-b...신형철씨도 마르크스 문장력 최고로 치는 걸 보고 역시...ㅎ

만병통치약 2015-03-03 22:14   좋아요 0 | URL
ㅎㅎ 저는 이 책 깊이 있게 읽을 생각은 없고 대충 하부구조 상부구조 이야기만 빼먹으려고 했는데 쉽지 않네요 ^^;;; 계속 노력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