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실과 사실. 작가는 이 사이에 '그러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러나'에 대한 이야기라고 밝힌다. 그러나. 진실. 사실. 이것들 사이에는 어떠한 이야기들이 존재할까. 책은 작가의 말대로 사실과 대부분의 진실 속에 숨겨져 있는 "그러나"를 향해 숨가쁘게 달린다. 그리고 그 "그러나"는 진실과 사실 사이 뿐 아니라 과거와 미래의 사이, 현재에도 존재한다.

 

평화롭던 마을이 미치광이 살인마에 의해서 한순간에 수몰되어버린 사건. 속칭 세령호 사건으로 인해서 살인마의 아들 서원은 7년을 하룻밤 같이 지내고 있다. 아니 그가 느낀 세월은 하룻밤에 7년 같았겠지만, 어쨌든 서원은 7년의 세월을 마치 계획된 하루처럼 고통받으며 살고 있다. 그 고통의 근원은 자신의 아버지 현수. 현수가 살인마로 잡힌 이후 그는 정체 모를 썬데이의 공작으로 인해 한군데 정착하지 못하고 승환과 떠돌아 다닌다. 그런 그에게 마침내 아버지의 사형집행 소식이 전해지고 인생의 변화구는 다시 한번 현수와 서원의 스트라이크존을 향해 날아온다.

 

7년의 밤은 철저히 소설=재미있는 이야기라는 공식을 따라가는 소설이다. 작가는 7년전 그날을 따라가기 위해 현재의 서원을 불러 일으킨다. 불러 일으켜진 서원과 그를 쫓는 누군가 속에서 우리는 어느새 7년전 그밤과 오늘,내일을 잇는 그러나 사이에 날줄과 씨줄을 엮어 촘촘이 낚인다. 어느새 우리는 내 의지와 상관없이 감겨오는 눈을 곧추세우고, 고픈 배를 문지르며, 화장실 가고 싶은 아랫배의 열정을 잠재우며 작가가 쳐놓은 그물에서 빠져나올 생각을 않는다. 작가는 7년전 그밤을 미친듯한 속도로 따라간다. 오영제의 가족과 최현수의 가족, 그리고 승환의 일까지 모두를 동시에 소환하고 그들 각각의 중심추를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완벽한 균형을 이룬다. 아니, 조금더 자세히 말하자면 작가는 거칠다. 거친듯 한없이 부드럽고 정교하다. 작가는 오영제에게 힘을 주고자 한다면 완벽히 그 극에 이른다. 그리고 그 끝에서 방황하고 허우적대며 빠지려 하는 우리를 다시 한 순간에 반대의 극에 소환시킴으로써 균형을 맞춰버린다. 작가는 독자들을 오영제와 최현수 그 중간에 위치하게하여 중심을 지탱하면서 이야기를 밀어나가지 않고, 오히려 그 양 극에 우리를 한없이 몰아붙여서 저울의 추와 대를 모두 팽팽하게, 쓰러지지 않게 몰고나간다.

 

물론 이 한없는 몰아붙임에도 약간의 느슨함은 존재한다. "나는 내 아버지의 사형집행인이었다"라는 파격적인 문구로 시작하는 이야기답게 작가는 초반에 너무 힘을 주는 인상 역시 받게 된다. 물론 그 인상은 작가가 끝없이 몰아붙여대는통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우리는 쭈욱 밀릴 수밖에 없기는 하다. 작가는 초반의 강함을 버티지 못하고 주저않는 것이 아니라 그 강함을 계속 유지할수 있는 가속도를 끝까지 밀어붙이는데 성공한다. 다만 초반의 임팩트와 그를 살리기 위한 초반 설정, 정확히 말하면 약간 과한 정보의 노출로 인해 중간부분에서 조금 독자와 스스로의 이야기에 대해 약간 떨어지는 긴장감이 엿보이는 대목도 존재한다. 하지만 모든 작품을 끝까지 완벽히 밀어붙이는 소설이란 존재할 수 없는 법.(아니 존재한다손 치더라도 이제 막 빛을 내려는 작가가 벌써부터 그런 힘을 보인다면 앞으로 작가 스스로 진이빠져버릴 것이리라)중간의 가벼운 숨고르기는 존재하지만 오히려 그것이 미덕이 될 정도로 작품은 끝까지 독자들을 완벽히 밀어부친다. 또한 이정도면 끝이겠거니, 이 7년의 밤이 이렇게 이루어졌구나라는 것의 전모를 파악한 그 순간. 작가는 다시 한번 잠수하는 독자들에게 새로운 산소통을 선사하며 마지막까지 작품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희열을 안긴다.

 

이런 독자를 압도하는 글에는 물론 장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작가 스스로는 충분히 의도한 설정과 플롯이었겠지만 독자들은 그러한 디테일은 맛보지 못하고 '이야기'에만 주목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 역시 그런 아쉬움이 존재한다. 작가가 내지르는 이야기의 힘이 워낙 거대한 탓에 그 안에서 작가가 세세히 보여주고자 했던 것들이 자칫 독자들의 경솔한, 그러나 어쩔 수 없는 읽기에 묻혀버린다. 이것은 또한 본인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작가는 이것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라 마음이 훨씬 놓인다. 작가가 말한 진실과 사실 사이의 "그러나". 이 그러나가 작가가 목표한 이 작품의 최우선의 목표였다면 최소한 이 "그러나"에 대한 독자들의 몰입은 완벽했기 때문이다. '정유정' 7년의 밤이라는 작품만큼이나 이 이름이 앞으로 반가워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