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ㅣ 나의 고전 읽기 9
김슬옹 지음, 신준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지난 겨울에 한글을 자세히 알고 싶어 이책 저책 사 두었다. 아프기도 하고 바쁘기도 하여 뒤적뒤적하기만 하고 지나쳐 왔다. 그러다가 올가을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지은이 이름을 보고 꽤 나이드신 분일 거라고 여겼다. 아마 '옹'자가 주는 느낌이었을 터이다. 그러면서 왜 이 이름을 처음 듣게 되는가 하고 이상하게 생각하기도 했다.
책을 처음 보면서 지은이 이름을 다시 보았다. '김슬옹 지음' 아래, '세종 외 원저'라 씌어 있다. 어차피 '훈민정음해례본 해례'라는 제목도 아닌 터인데도, 이 책을 쓰게 된 모든 바탕이 거기에서 나왔다고 하여 원저라고 밝혀놓은 것으로 보였다. 그래서 이분이 겸손하고 학자다운 정확성을 가지셨나 보다 했다. 이렇게 첫인상을 좋게 하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소개하는 분이 어려운 책이라고 여러 번 강조하였기에, 물론 그것이 학생들한테 어렵다는 뜻이었겠으나 각오를 다지면서 책장을 넘기는 중이었다.
아주 오래 전에 읽은 역사 논문에서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것은 그가 백성을 어여삐 여겨서라기보다 고려에서 성을 바꾼 혁명으로 왕조를 갈아치운 조선으로서는 당시 매우 높아진 민중의식과 문화욕구를 물리칠 수 없어 그러한 일을 하게 되었다는 (단순하게 쓰자면) 내용을 읽은 적이 있다. 한 번도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없던, 그저 학교에서 가르쳐주는 것만 알고 있던 대학 초년생에게는 새로웠고 그럴 듯하다는 느낌도 주었다. 그러면서 그것은 늘 머릿속에 남아 있었다.
그리고 여러 가지 궁금함을 불러일으켰다. 왜 세종만이 높아진 민중의식을 반영하여 그토록 힘든 문자창제에 나선 것일까? 왜 신하들은 반대했을까? 그 때보다 더 의식이 높았을 것으로 보이는 근대기에 동학농민혁명을 일으킨 민중들의 의식은 왜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그들은 관군과 전쟁으로 짓밟히고 외세에 또 다시 짓밟혀 어두운 항일투쟁기로 넘어가기 바로 직전을 피로 물들이며 항거했을까?
이 책은 수많은 궁금함을 풀어주었다. 신권정치를 꿈꾸었던 정도전이 이방원(태종)에게 패하면서 그 기반 위에서 왕권 중심 개혁을 이룰 수 있었던 세종 때에는 왕과 하층민의 직접 소통이 더 중요했다고 한다.
죄를 막기 위한 법령 안내, 농사 지식, 성리학 기본을 실은 삼강행실 같은 것들로 문자창제 이전부터 백성들과 소통하고 싶어 한 세종이었다. 백성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과 음악에 대한 깊은 소양, 과학 하는 태도와 능력 같은 것들이 어떻게 세종재위 끝무렵에야 기적과 같이 일어난 훈민정음창제를 향해 일관되게 지표와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를 잘 설명했다.
훌륭한 지도자는 여론에 관심을 가진다. 세종이야말로 가장 그러했을 것이다. 그런데 평생에 걸친 백성사랑과 과학 열정으로 눈병을 견뎌가며 창제한 훈민정음을 다른 사람도 아닌 집현전 학자부터 반대를 했을 때, 그 마음이 어떠했을지 짐작하면 마음이 아프다. 그토록 학문을 장려하여 의욕을 가지고 우대했던 집현전학자들조차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프로젝트에서는 마지막 해례에서나 함께 했을 것으로 보인다.
최만리의 반대상소문도 그것이 있었기에 당시 분위기가 어떠했는지, 세종은 어떤 마음이었는지, 최만리가 두려워하고 반대를 해야 할 만큼, 훈민정음이 얼마나 문자로서 위력스러웠는지 알 수 있었다는 역사의 아이러니를 풀어 놓을 때는 추리소설을 읽는 것처럼 정확한 증명 방법에 짜릿하기까지 했다.
'자방고전'이나 다른 몇 가지 말을 근거로 도대체 세종은 무엇을 본떠서 한글을 만들었나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었을 것이다. 독재자가 아닌 데다가 오히려 그 누구도 탄압하지 않았던 높은 지도력을 가진 그가 보여준 외교적, 정치적 장치에 빠져 허우적대지 않도록 지은이는 우리를 튼튼한 징검다리로 안내한다. 그래서 진정 그가 무엇 때문에 한글을 만들었는지 드러내 놓는다.
홀로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고 그저 세종과 학자들이 밝혀 놓은 글을 따라가면서 훈민정음이 이룬 문자혁명의 비밀을 풀어놓는 지은이에게 이 책을 읽으며 자주 감탄했다.
음절문자인 일본어, 음운문자인 영어와 한꺼번에 싸잡혀 표음문자라 하기에는 소리문자로서 한글이 너무나 뛰어나다는 설명이 지금도 명쾌하게 와 닿는다.
이렇게 깊이 있는 연구를 소설 읽듯 지하철을 오가며 다 읽어내노라니 더욱 즐겁기 그지없다. 내일은 지은이와 함께 세종께서 나신 곳에 있는 비석도 볼 것이며 그가 묻혀있는 곳, 영릉까지 가서 이 가을하루를 그를 떠올리며 보낼 것이다.
아이한테 이 책을 건넸더니, '왜 이렇게 가벼워?'한다. 세종이 무엇이든 백성과 함께 소통하고 싶어했고 그것을 위해 반대를 무릅쓰고 비밀을 지켜가며 문자까지 창제하였듯이 오늘날 그 훈민정음으로 글을 써서 책을 만들 때는, 이 책처럼 재미있고 즐거운 읽기 경험을 주면서도 한 손에 들기에, 가방 안에 쏙 들어가기에 가벼운 책을 만들 지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