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27
안나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스스로는 잘 찾지 않는 아들을 
기준으로 청소년 책을 고르는 편이다. 
독서도 공부도 그것의 쓸모를 느껴야
재미가 드는 것인데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아주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수포자가 갈리기 시작한다는 초5학년을
앞두고 매우 흥미롭게 읽었다. 구구단이
매우 쓸모없다던 아이는 그 역사가 
삼국시대부터 있었으며 인간생활에서 
수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느끼고야 만다.


<조선에도 수학책이 었었어?>

조선의 수학책을 번역했던 저자가 서양보다 
빨랐던 동양의 수학의 오랜 역사와 위대함을 
이야기한다. 우리 일상과 가까운 수학을 통해 
인간이 살아가는 원리와 삶의 태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구구단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백제의 구구단 목간은 국립 부여 박물관에 
실물이 전시되어 있다. 구구단뿐만 아니라
나눗셈도 쉽고 빠르게 하기 위해 나눗셈표도
외우고 노래로 불렀다는 사실!

농사짓는 달력을 만드는 <마방진>과 
건축할 때 많이 사용되는 <기하학>, 
흥미로운 구구단의 역사까지 만나볼 수 있다.



<세종대왕도 수학을 공부했다고?>

조선이 부강한 나라가 되려면 과학이 중요했고
과학의 기본이 되는 수학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세종대왕.
당시 집현전 학자인 ’정인지‘에게 수학을 배웠다고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수학은 농업, 건축, 천문학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었고 수학의 활용은 사람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렇게 다양한 조선의 수학자와 수학책이 존재했다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정확하고 빠른 계산기 ’산가지‘>

계산할 (산), 나무 (목) 자를 써서 계산하는 나무라는 뜻이다.
 1713년 조선의 수학자 홍정하와, 청나라 수학자 하국주가 대결하여  
조선이 완승했다. 계산법과 산가지를 전수한 일화에서 우리나라가 
얼마나 지혜롭고 똑똑한 민족이었는지 다시 한번 자부심을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시대의 수학 문제들도 수록되어 있으니 
도전하는 마음으로 즐겨보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자음과모음 #초등인문학 #수학으로세상을널리이롭게하라 #안나미 #청소년추천도서 #조선시대수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