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와 너 사이에서 철학하다 ㅣ 사이에서 철학하다 3
다나카 마치 지음, 최진영 그림, 이소담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10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8/pimg_714478177446556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8/pimg_714478177446556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8/pimg_714478177446556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8/pimg_714478177446556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8/pimg_714478177446556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8/pimg_7144781774465570.jpg)
제목 - 나와 너 사이에서 철학하다
저자 - 다나카 마치
출판 - 위즈덤하우스
타인과 연결되려는 건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다.
사람들은 서로 연결되기를 원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과하게 연결되면 깊은 내면의 상처를 입기도 한다.
타인과의 연결고리만들기는 왜 이렇게 복잡하고 어려운걸까?
툭하면 울음으로 표현하는 아이에게 이야기 한다.
<울지 말고 말하렴>
아이에게도 강요하는 그것이 성인에게도 좀처럼 쉽지 않다.
대인관계 소통의 방법을 잃은 어른아이들...
머리를 띵! 하게 만들었던 구절
<정체성은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다.>
'나는 이런 사람'이라는 이미지는 본인 고유의 특성이라기보다
타인과 비교하거나 관계를 맺으며 만들어진다. 나를 인정해주는
타인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나라는 자아도 수십개를 감당해내지 못하면서
타인에게 나를 그대로 인정받고 싶었던 나의 인정욕구는
얼마나 강했던 사람인지 책을 보며 다시금 느껴졌다.
타인에 대한 인정욕구가 높을 수록 자신을 잃기 쉽다.
너와 나의 관계 맺기가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는 나의 정체성과
타인이 부여한 정체성의 간극이었다.
저자는 여행할 오리와 갓파 인형이 함께 한다고 한다.
자신을 1인칭에서 벗어나 객관화 시키며 대화를 나눈다.
내가 끔찍하게 사랑하는 홀로 자신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자신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바닥으로 자꾸만 앉으려 할 때 자신을 다독이는 자기
객관화의 방법으로 다시 나를 사랑해보자.
타인과 관계가 깊어지며 말하지 않아도 나를 알아줄 것 같고
취향을 함께하지 않을때의 무언의 서운함. 홀로했던 기대와
달라서 무너진 경험 누구나 있을 것이다.
나의 세계가 있다. 타인의 세계가 있다.
서로의 세계 인정하는것!
느슨한 연결고리 틈으로 바람이 통하는것
그것이 우리가 소통하는법
작은세계 어린이부터 어른이까지 모두 추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위즈덤하우스 #나와너사이에서철학하다 #사이에서철학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