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의 작은 과학 1
나카가와 히로타카 지음, 기타무라 유카 그림, 황세정 옮김 / 상상의집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부터 숨쉬는 것에 대한 고마움을 다시 한번 느끼고

요즘 코로나 사태로 인해 내 코로 마음껏 숨쉬는 것의 고마움을

다시 한번 느끼고 있는 요즘입니다.

 

 

 

겨울이면 하얀 입김이 신기해서 창틀에 호~ 불어서 글씨쓰고 그러지요.

내가 내뱉은 숨이 하얗게 보여서 아, 나 숨쉬고 있는거구나 느낄 수 있지요.

사람은 물론 강아지도 고양이도 소도 바다표범도 개미도 매미도...

대부분의 생물들은 숨을 쉬지요.

모두 숨을 쉬는데 숨을 안 쉬면 어찌 될까요?

잠수 할때 잠시 숨쉬지 않으면 금방 숨이차서 밖으로 나오게 되죠?

​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아주아주 어린 아기였을때

엄마 배 안에서 숨을 잘 쉬었는데...

엄마 배안에 있는 물 속 - 양수에서 편안하게 있었는데...

비록 아이는 기억나지 않지만 엄마 배안 물속에서 엄마의 탯줄로

산소와 영양분을 받아 물 숨을 쉬지 않아도 되었답니다.

 

 

 

스노쿨링을 할때 스노클로 우린 숨쉬는데 그럼 물속에 사는

다른 생물들은 어떻게 숨쉬지??

아가미를 통해서 숨쉬지~

동물들은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뱉지만,

식물은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뱉어!

​ 

 

 

그런데 숲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식물이 내뱉는 산소의 양도 줄어들지...

엄마, 아마존 숲이 점점 줄어들어서 산소가 많이 줄고 있겠다 그치?

근데 아빠, 이산화탄소는 나쁜거야?

아침에 아빠한테 묻더라구요. 이산화탄소는 좋은건지 나쁜건지..

<숨> 책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생활 속 작은 과학을 배울 수 있는

유아추천그림책이네요.

아빠의 답이 뭐냐구요?

일산화탄소는 어쩌고 저쩌고 이산화탄소는 어쩌고 저쩌고~~

하는거 같던데 제가 외출준비로 제대로 못 들었습니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