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있는 힘껏 산다 - 식물로부터 배운 유연하고도 단단한 삶에 대하여
정재경 지음 / 샘터사 / 2024년 4월
평점 :

식물이야기 책을 읽으면서 수목원 한바퀴 돌았다
꽃도 있고 나무도 있고 이야기도 있는 책 .
있는 힘껏 산다 . 책과 함께 하는 수목원 나들이 시간이라서 그런지
풀잎들도 새롭게 보였다.
식물과 이름표가 함께 있으면 그냥 이름만 보았는데 ,
[있는 힘껏 산다]에서의 식물 설명을 보면서
뭔가 깊은 의미를 찾아보게 되는 시간이기도했다 .

봄이 되면 많이 보게 되고 일부러 찾아보게 되는 철쭉
핑크빛 봄의 전령사
여기에서 소개해주는 책들이 있다 그리고 그 책을 작가분들의 대한 이야기를 읽게 되면
책속의 소개에 빠져들게 된다
'달밤 숲속의 올빼미'
'글로 지은 집'
그 이야기의 끝에
[고단할지라도 ...끝끝내 가보는 수밖에 없다]
우리모두의 인생 가는 그길을 이야기 하는 거 같다 .
그러면서 [병이 들어도 이겨내며 꽃을 피우는 철쭉처럼]
이라는 말이 철쭉이 그냥 봄이 되면 보는 쉬운 꽃인 줄 알았는데 ,
강인한 꽃으로 다가왔다.

[있는 힘껏 산다]
지금 내가 다짐하고 힘을 내는 말인 거 같다.
소나무가 주는 안정감.건강함
피톤치드에 대한 설명에 오~그런거였구나 .
그러게 사람에겐 유익하고 미생물과 잡초들에겐 호락호락하지 않는 매력이 있네 .
나도 분별하여서 유익하고 강한 사람이였음 좋겠다는 생각 .
식물 이름 위에 작가의 마음이 담긴 작은 제목에 따라 내 눈길이 가기도 한다
[다 지나간다] 제목으로 위로 받기도 하고
작가님의 이야기에 깊이 빠져들어 같이 우울해 하기도 하고
식물 선물이 담긴 의미에 대해서 한 수 배우기도 했다 .

[자기만의 속도가 있다 ]
살구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보면
살구나무에 열매가 맺힌 것을 '낳은 살구'라고 표현을 한다
풋 하고 웃음이 나오는 표현이면서 그런마음이 들었겠구나 하는
그 과정을 알고 있는 자의 공감의 끄덕임도 있었다 .
살구나무에서 잼을 만드는 이야기 .
첫 해에는 겨우 세알이였던 것이
잼 열병이 되었고 다음에는 양동이로 몇개가 되어서
먹다 남은 살구로도 스무병 가까이 잼을 만들었다는 이야기.
우리 아이들도 각자만의 속도가 있겠지.
그렇게 기다려 보고자 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쓴 후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