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와의 인터뷰에서는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기술주에 투자하는 것은 너무 위험하다."라고 예측을 했음에도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는 점이다. 주변을 둘러보고 회사의 동료들과 상사를 떠올려 보자. 얼마나 많은 이들이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있는지. - P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 있을 땐 찐따인데 무리지으면 일진 놀이하는 것들이 다 사막메뚜기같은 쉑들이구나

우리는 멱법칙을 통해 많은 혜안을 얻을 수 있는데 먼저 멱법칙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평균‘의 가치는 떨어지고 극단값이 큰 의미를 갖는다는 점이다.

서식 밀도가 낮았던 때에 사막메뚜기는 온순한 성정을 갖고 홀로 생활하였다. 하지만 개체수가 증가해 서식밀도가 높아지자 상호작용이 급격해지면서기존에는 감히 상상할 수 없었던 거대한 조직을 누구의 통제나 명령 없이 스스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직장에서의 반복적인 업무나 일반적인 제조에서는 운보다 실력이 더중요하다. 정확한 예측과 치밀한 계획이 가능한 분야다. 하지만 좋은 리더를 만나는 일이나 신제품의 히트 여부는 운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정 관념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기반해 예측을 수정해 나가는 것이다. - P40

우리는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그래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실제 일을 계획하고 수행하고 분석하고 실행할 때는 불확실성을 배제할 때가 많다. 하지만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이 말한 것처럼 ‘불확실성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자제력이 필요하다. - P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측의 불가능성을 이해할 때 우리는 과거의 예측이 실력이 아니라 ‘운‘이었음을 알게 된다. 예측의 불가능성을 이해할 때 완벽한 계획이란 없음을 인정하게 된다. 예측의 불가능성을 이해할 때 혁신에 있어 아이디어의 질보다 아이디어의 양이 더 중요함을 깨닫게 된다. 예측의 불가능성을 이해할 때 최선을 기획하는 것보다 최악을 대비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인지하게 된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