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 시절에 문득 손에 들었던 책의 저자가 한참이 지나고 나서 불후의 명작을 남긴 작가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밀려오는 놀라움과 자부심은 로또의 1등 당첨이 아닌 소박한 4등 당첨만큼이나 큰 희열과 행복감으로 다가 올 것이라 생각한다. “프루스트” 라는 이름은 나에게 어쩌면 그러한 정신적인 희열과 행복감으로 대변된다.

 

고교시절 도서관에 빌려와 반납하지 못한 책 한 권이 있다. 제목은 <명상의 시간을 찾아서>이고, 저자는 마르셀 프루스트다. 솔직히 그 당시 그 책안에 담겨진 인생철학을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눈과 귀에 쉽게 들어오는 여러 명사들의 명언과는 뭔가 차별함을 느꼈던 만은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수많은 책들이 지난 생활에 함께 하지 못하고 책장을 거쳐 사라졌음에도 여전히 책장에 간직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생각이 맞물린 탓일까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는 늘 나의 관심목록에서 손길을 기다리고 있었다.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는 주로 프루스트가 생을 마감하며 남긴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라는 작품과 그의 주변인들로부터 듣는 프루스트의 삶의 궤적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별한 인생철학들을 소설가 알랭 드 보통의 섬세한 분석을 통해서 담고 있다. 책속에서 우리는 살면서 가장 많은 고민과 질문을 던졌을 ‘현재의 삶을 사랑하는 법’, ‘여유 있게 사는 법’, ‘감정을 표현하는 법’, ‘좋은 친구가 되는 법’, ‘행복한 사랑을 하는 법’ 등을 프루스트가 바라본 세상과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그리고 무엇보다 그의 그러한 생각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묘사를 통해서 듣게 된다.

 

국내소설이든 외국소설이든 고전의 시공간적인 배경은 현재와 판이하게 다름에도 우리는 고전을 읽으며 오히려 현대소설 속에서는 찾을 수 없는 인간내면의 본질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이 우리가 고전을 읽게 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고, 인간이 삶을 통해서 느끼는 인생의 본질적인 의미는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우리의 삶속에 녹아있다는 반증이다.

 

‘훌륭하게 고통을 견디는 법’에서 프루스트는 이런 말을 한다. “행복은 몸에 좋다. 그러나 정신의 힘을 길러주는 것은 고뇌다.”(p.94) 이는 그가 그동안 보았던 문학이든 미술작품이든 고뇌라는 정신적인 힘의 산물이라는 것을 역설하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분명 우리는 행복을 그리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나의 인생은 늘 왜 이렇게 늘 수많은 걱정과 고민 속에서 허우적대고만 있는 거지’ 하며 매일매일 일기장에 담기 싫은 푸념 섞인 불안감을 가슴에 담은 체 내일의 태양을 낯 뜨겁게 기다리고 있지는 않는가?

 

내일의 태양을 기대와 기쁨으로 맞이하고 싶다면 먼저 프루스트를 좋아해보는 것은 어떨까? 괴롭게만 느껴져 도피하고만 싶은 현재의 삶, 늘 쫓기는 듯 한 어제와 오늘, 성장하면서 가중되는 부담과 고충들, 주인을 잃은 듯 한 감정과 더불어 선입견으로 가득한 주위의 사람들과 친구들, 이 모든 고민들에 대한 짧지만 섬세한 프루스트의 대답들이 어쩌면 좋은 조언이 되어 행복한 일상과 사랑을 선사할 지도 모른다. 프루스트의 삶과 그가 남긴 소설을 통해서 보여 지는 인생 역시 굴곡이 많았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한 삶마저도 사랑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진정한 행복과 사랑을 마음속에 그리며 내일을 맞이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