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학이란 무엇인가
하인호 지음 / 일송북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가끔 “미래” 라는 단어를 머릿속에 떠올리면 새로운 문물에 대한 궁금함을 넘어서는 기대감과 그 시대를 경험하고 싶은 욕심까지 생겨난다. 불과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과거 인류는 과연 지금의 발전된 생활환경과 사회모습을 꿈꾸며 살고 있었을까? 물론 지금의 미래에 대한 기대만큼은 아니지만 그때도 먼 미래가 선사할 세상에 대한 밑그림을 그리며 한 발자국씩 다가섰기 때문에 지금에 이르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또 분명한 것은 과거에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일들이 사회의 큰 변화를 이끌고, 전혀 새로운 문화를 구축하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가령 과거 전자계산기의 발명에 이은 컴퓨터의 등장과 발전으로 사회에 큰 변화를 줄 것으로 예감했다면. 그 변화에 통신혁명이란 불리는 핸드폰과 인터넷의 발달이 더해지면서 보다 그 변혁의 폭을 넓혀놓았다. 그렇다면 앞으로 발전진행중인 변화 또 색다른 혁명적인 문화가 더해지면서 급진적인 발전상을 보여줄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이렇듯 우리가 그려가며 누리는 미래상에는 기본적으로 점진적인 발전의 모습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여러 산업을 통한 물질적인 발전은 풍요로움 이면에 인류에게 여러 가지 정신적인 고통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여기에는 계층 간의 갈등에 비롯되는 피해의식과 공허감도 작용을 할 수 있겠고, 인간적인 교류의 부재가 가져다주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인 장애로 인한 사회문제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이렇듯 미래는 우리에게 결코 풍요로운 행복만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미래에 대해서 끊임없이 관심을 갖고 이런 발전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들에 해결책까지도 미리 연구 해갈 때 우리의 미래는 조금이나마 희망적일 수 있는 것이다.

국내 최고의 미래학자로 꼽을 수 있는 하인호 박사님이 오래전에 펴낸 <미래학이란 무엇인가> 에서는 지난 인류의 미래예측에 대한 발자취와 더불어 미래를 학문적인 발전으로 이끈 과정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곧 앞으로의 미래는 예전보다 날씨예보만큼이나 정확하게 우리들의 머릿속과 생활 속에 녹아들 것이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무엇보다 예전의 미래학자들이 내놓은 이야기들이 때로는 마치 특별한 예지을 지닌 예언자들이 내놓는 불안한 사회에 대한 경고성 예언처럼 들렸지만, 지금의 미래학은 폭넓은 시각으로 모든 학문과 사회현상들을 분석하고 조합해서 만들어지며, 또한 그러한 통찰력에서 기인한 미래예측이 제대로 이사회에 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통찰력 역시 신적인 예지가 가져다 준 것이 아닌 끊임없이 세상의 이모저모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의 하루 일과 중 절반은 신문읽기와 인터넷을 통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촉각을 기울이는 것이라고 하니 말이다. 이제 미래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첨단의 기술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광범위하게 세상을 바라보며 쌓은 빛나는 통찰력이 필요한 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한 통찰력에는 기본적으로 미래를 학문으로 이해하고, 폭넓은 사고를 통한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을 생각된다. 따라서 <미래학이란 무엇인가>을 통해 그려보는 미래에 대한 밑그림은 곧 강한 예지로 빛을 발할 미래통찰력을 위한 기본기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