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우리 역사계의 연구 초점은 고대사에 집중되고 있다. 여기에 발맞추어 최근 사극의 주류 역시 조선시대에서 삼국시대를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이러한 기조가 꾸준히 이어져 조금씩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는 고조선사에 대한 고증이 완성단계에 이르게 된다면 우리는 중국역사에 버금가는 역사적인 사실을 토대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고대사에 대한 사료들에 대한 새로운 고증이 늘어갈수록 오금 저려할 나라는 중국과 일본이다. 일제 식민사관을 통해서 최대한 축소시켜놓고, 동북공정을 통해서 고대 유적들을 마구 짓밟아 놓았는데도 완전히 지울 수 없는 시간의 더께들이 하나둘씩 벗겨질 때 그들의 모습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통쾌한 감이 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라는 소설로 친숙해진 김진명의 <천년의 금서> 고대사의 고증을 통한 통쾌함에 앞서 우리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이끌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자국이 아닌 이국에서 아주 사소한 역사적인 사실 한 가지라도 찾아보려고 노력을 우리는 숭고하게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여전히 역사를 두고 어떠한 사조간의 밥그릇 싸움이나 하고 있는 유명무실한 정부의 역사 관리의 허술함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한다.

고조선과 단군의 역사적인 사실로써 재조명해 놓은 책을 읽으면서도 민족적인 자존심 이면에는 동북공정이니 식민사관에 대한 맞불놓기 수준이 아닐까 생각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건 아무래도 고증에 대한 불확신과 편파주의라는 우문에 빠지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앞서 말했듯이 새로운 역사적인 사실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연구 노력이 이어질 때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고, 새로운 역사를 더해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고 믿기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고 싶은 심정이다.

“시간의 더께는 후세의 사람들이 아무리 지우려고 해도 완전하게 지울 수 없는 거라고 생각해. 지금까지 찾지 못하고 있다 해서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정할 수 없는 거와 같은 이치지.” (p.261)

지난 인류의 역사를 되돌아볼 때 아무리 사실을 은폐하거나 고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인 사실은 완전히 지워지지 않은 채 어떠한 형태로든 세상에 전해졌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천년의 금서>를 통해서 전하는 역사적인 교훈은 과거사에 국한된 것이 아닌 자신의 역사와 끊임없이 과거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는 현재에 대한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겨보았다는데 보다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