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 - 아이디어뱅크 홍사종의 스토리 마케팅
홍사종 지음 / 새빛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몸의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퍼져있는 말초신경만큼이나 퍼져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모세혈관이다. 모세혈관이란 우리의 온몸에 그물망처럼 퍼져 심장과 동맥을 거쳐 나온 혈액에 담긴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는 인체 순환의 마지막 종착지인 셈이다. 이 마지막 종착지까지 맑은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었을 때 우리의 몸은 건강하게 유지됨 또한 당연하다. 그렇다면 지금의 지구촌에서 각 국가를 연결하고, 국가 내에서라면 각각의 조직과 개인을 연결하여 몸 안에 필요한 산소나 영양과 같은 경제와 지식을 공급하는 모세혈관을 하는 것은 과연 어떤 것일까? 그 답은 바로 현재의 정보화 사회을 이끌고 있는 인터넷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지만 그 인터넷이라는 모세혈관에 존재하는 앞으로 세상을 행복한 미래로 바꿔 갈 필수영양소 단연 최고는 “이야기(STORY)" 이다.

 이야기 속에서 국가 간의, 계층 간의 소통과 개개인간의 소통에 필요한 답을 찾았던 저자 홍사종 님은 <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을 통해서 이야기를 통한 미래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였다. 과거 그리스로마시대를 거슬러 지금의 이르기까지 이야기는 인류의 동반자로 자리학 있다가, 지금 이르러 그 빛을 크게 발할 시대에 다다랐다고 얘기한다. 이제 세상은 이야기가 갖고 있는 무한의 창조성에서 미래를 발견해 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모습들은 이제 하나 둘씩 우리 앞에, 우리의 생활 속에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 일깨워준다. 가령 산업혁명이후 새로운 혁신을 가져다준 IT산업의 매출 증가율을 능가하는 성장률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문화산업, 이야기산업이라는 것이다. <해리포터>이 낳는 조앤 롤링의 수입은 1조 120억 원으로 51조의 개인자산을 가진 빌 게이츠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재산증가율에 있어서는 빌 게이츠의 2%에 비해서 21%로 열배가 넘는 다는 것이다. 결국 빌 게이츠 따라잡기는 시간문제라는 것이다. 이렇듯 이야기는 큰 부(富)와 명예와 연결이 되며, 앞으로의 사회를 이끌어가는 중추적인 역할로 자리를 잡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역설이다.

 나또한 한 1년 전부터 스토리텔링의 파워를 실감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보는 광고 속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상품의 마케팅과정을 관찰해보면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두드러지는 것은 대기업의 이미지 광고이다. 대기업의 광고에선 언젠가부터 상품이 사라졌다. 단지 기업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스토리가 담겨 있는 시리즈 광고만을 내 보낼 뿐이다. 그 이미지는 결국 단지 한 가지 제품을 광고하는 효과보다 그 기업에서 생산해 내는 모든 제품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미 이렇게 우리는 이야기를 통한 마케팅에 자연스럽게 젖어가고 있는 점을 대변하기도 한다.

 필자는 <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에서 우리나라의 문화산업 발전가능성, 부족한 미래지향적인 육성과정과 투자, 무엇보다 국민 모두가 문화산업 즉 이야기에 대한 인식을 달리해야하는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지난 정권과 현 정권의 정책에서 보여주는 문화산업 육성에 대한 의식과 투자의 부재 역시도 크게 비판한다. 이미 세계는 이야기를 통한 총칼 없는 전쟁 중에 있음에도 우리는 그 전쟁 속에 있다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가 펼치고 있는 운동이 바로 “모세혈관 문화운동”이다. 이 운동은 보다 이야기나 문화에 대한 인식과 저변을 서울도심에서 뿐만 아니라 저 멀리 남도의 섬까지 골고루 전파하여 미래를 선도할 이야기로부터 파생되는 여러 종류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고 느끼며, 생활화하자는 것이다. 이것이 곧 개인과 더불어 우리가 문화선진국에서 살 수 있는 커다란 힘을 만든 다든 것이다.

 얼마 전 올해 아카데미상을 휩쓴 인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슬럼독 밀리어네어>의 시사회를 보고 나서 과거 홍차로 비롯된 영국의 인도식민지가 이야기로 다시 시작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배경과 소재, 배우 모두 인도산이지만, 이를 영화로 만들어 세상에 팔고 있는 것은 바로 영국이라는 점이다. 영국은 문화산업에 기울이는 공은 실로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그리고 그 그림자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건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그림자에 가려 우리 또한 문화식민지가 되지 말라는 법 또한 없다. 문화 식민지민이 아닌 문화로 세상의 중심에 우뚝 서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보다“모세혈관 문화운동”을 통한 인식을 넓혀가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점이 우리가 이 책<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를 읽어야 하는 하나의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