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망상
루퍼트 셸드레이크 지음, 하창수 옮김 / 김영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과학의 망상' 다소 어려워 보이는 두꺼운 책이었지만 제목이 마음에 들어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더할 나위 없이 정확하고 이성적인 것이 과학인데, 과학의 망상이라니? 공상과학 뭐 그런 걸 말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걸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책은 내가 그 동안 보아왔던 '과학책' 과는 상당히 달랐다. 과학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주었다고 해야 할까. 이 책의 저자인 루퍼트 셀드레이크가 비판하고자 하는 것은 과학의 유물론적 세계관이다. 세계는 생명 없는 물질로 만들어진 기계이며, 자연은 목적이 없다는 것이 유물론자들의 주장이다. 우리가 생각하고 감정을 갖도록 하는 뇌의 작용조차도, 우리의 정신도 단순한 화학적 작용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정말로 인간은, 생명의 영혼은 환상에 불과한 것인가? 저자는 유물론자들에게 이렇게 물으며 비판한다.

셸드레이크 교수는 현대 과학이 영원불변하다고 믿는 열 가지 확신을 의문으로 바꿈으로써 유물론자들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에 들어 기계과학적 신념은 믿음을 넘어서 마치 종교처럼 변했다는 것이다. 그들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저자는 우리의 고정된 생각과 유물론적 세계관에 대한 통념을 깨트리려 한다.

생각해보면 나도 '과학'이라는 것을 떠올리고 과학에 대해 알고자 하면서 유물론적 상식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였던 것 같다. 우주 만물이 모두 물질로만 설명이 된다면, 정신은 없고 영혼도 없는 껍데기에 불과하다면.... 무서운 사고방식이 될 수도 있겠다. 그런데 현대과학에서는 그것을 너무나 당연스럽게 받아들여온 것이 아닐까.

 

 

결국 저자는 정신(영혼)이  배제된 과학을 비판하려고 하는 것이다. 유물론적 사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도 많을 뿐더러 정신이 배제된 과학은 볼완전하다는 것을 다양한 유물론적 사고의 문제점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또 한 편으로는 기존의 과학적 사고방식에 익숙해서인지 저자가 주장하는 형태 공명이라는 것 또한 쉽게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과거 또는 현재 같은 종에게 기억되고 하는 모든 것들이 공간에 관계없이 서로 전파된다는 것이 형태공명설인데, 어느 정도 설득력은 있으나 이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할만한 증거가 없다. 유물론적 사고의 문제점에 대한 것을 충분히 공감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겠는데 이 부분에서 조금 어려웠던 것 같다. 시간이 더 흐르고 연구가 더 활성화된다면 형태공명설도 충분히 인정받을 만한 이론으로 구축되지 않을까 기대는 해본다.

 

다소 나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감이 있는 책이었다. 잘 챙겨두었다가 생각이 날 때 다시 한 번 펼쳐 읽으면서 이해해보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