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혼자 스페인을 걷고 싶다 - 먹고 마시고 걷는 36일간의 자유
오노 미유키 지음, 이혜령 옮김 / 오브제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나는 혼자 스페인을 걷고 싶다"...제목부터 생각이 깊어지는 책이다. 혼자 걷고 싶다는 것은 생각할 시간, 돌아볼 시간, 미래에 대한 어떤 결정이 필요하다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책의 저자는 미혼의 젊은 일본인 여성 오노 미유키이다. 힘든 직장생활과 잘나가는 친구들 틈에서 <나>로 살아내기가 버거운 한 젊은이... 낯설지가 않다. 현실의 높은 벽에 결국 공황장애라는 진단까지 받은 저자는 한국인 교수님의 말 한마디를 기억하며 학창시절에 걸었던 경험이 있는 스페인 순례길에 다시 오른다.
 
"인생과 여행에서 짐을 꾸리는 방법은 같습니다. 필요 없는 짐을 점점 버리고 나서, 마지막의 마지막에 남은 것만이 그 사람 자신인 것입니다. 걷는 것, 그 길을 걷는 것은 '어떻게 해도 버릴 수 없는 것'을 알기 위한 과정입니다." (배재대학교 일본학과 김양주 교수)

기독교 순례길은 흔히 성지를 향해 나아가는 신앙의 순례의 뜻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세계각지의 다양한 계층이 종교를 불문하고 그 길을 <걷기>위해 찾고 있다고 한다.
각기 다른 국적과 상황과 이유에서 오른 스페인 순례길, 카미노 데 산티아고!

총 800km 36일간의 <걷기>여정을 기록한 순례길 여행 이야기를 통해 만난 36편의 에세이는 잔잔한 울림이 있었고, 마치 내가 순례길을 걷는 느낌이었다. 굳이 순례길에 가지 않더라도 이 책 한권에 인생과 삶의 지혜가 묻어났다. 작가는 순례길에서 <인생이란 글을 쓰며 사는 것>이란 답을 얻었다. 책을 읽는 동안 '글을 참 잘 썼다'라는 생각을 했는데 솔직 담백한 문장들이 매력있는 책이다. 어쩌면 번역자의 능력일지도!ㅎㅎ 더불어, 스페인 순례길의 상세한 여행 정보를 알려주는 페이지는 실제 여행계획을 세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친절한 도움이 될 것 같다.

저자는 이 길에서 '내가 마지막까지 버릴 수 없는 짐'을 생각한다. 그리고 순례길을 걷는 모든 이들이 물어오는 질문이 있었는데 <포르 케 카미노스 투?, 왜 이 길을 걷니?>이다. 정답은 없다. 저자가 순례길을 통해 짐을 버리고 자신을 찾는 시간을 가졌다면 우리는 또 우리만의 짐을 버리고, 우리만의 <나>를 찾으면 되는 것임을...

책을 읽고 나는 세 가지를 얻었다. 산티아고 순례길을 걸어보기도 전에 마치 순례길을 마친 듯한 느낌과 내 인생의 길을 한 걸음 한 걸음 다시 걸을 힘이 되어 주었다는 것!
또, 비록 혼자는 아니더라도 꼭 한번 프랑스 생장에서 출발하여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까지 걷고 싶다는 꿈!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문장들을 떠올려 본다.
<Take your time!, 서두르지 마!>, <What is life?, 인생이란 무엇일까?>

순례길을 다 걷고 성지에 도착해서 순례 증명서를 받았다고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끝이 나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또 계속 걸어야할 인생의 순례길이 남아 있다. 나의 몫으로...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직장이 정해진 것도 아니다. 모든 건 다시 제로. 문득 누군가가 했던 말이 생각났다. '카미노는 성지에 도착했다고 끝난 게 아니야. 오히려 그때부터가 진짜 여행인 거지.'" (본문 p.143)

ㅡㅡ> 오노 미유키~ 순례길을 마친 지금 인생의 진짜 여행 잘 하고 있죠? 왠지 궁금해지네요ㅋㅋ
나도 사실 힘들어요. 정답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혼자 스페인을 걸었던 여행기를 통해 정답을 찾았다기 보다는 함께 걸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도망쳐도 돼'라는 순례길 친구의 이야기를 듣고 울음을 터트린 미유키처럼 나도 그렇게 마음 한켠이 녹아내리는 느낌이었어요. 고마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