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늑대 -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
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개를 키우기전에도 알고 있던 책이었지만 개를 키우지 않았다면 읽고 싶은 마음이 들진 않았을 거 같다.
개를 키우다 보니, 우리 개들이 늑대는 아니지만, 늑대 발꿈치도 따라갈수 없지만 ㅋㅋㅋ 뭔가 저자의 경험이 부럽다.
늑대 새끼를 데려와서 그가 겪은 일들이 책에는 자세히  묘사가 되어 있지 않지만 그의 삶을 송두리째 바꿨다는 말이 결코 과장은 아닐것 같다.
이 책은 저자가 늑대와 함께 11년간 동거하며 자연과 동물 인간에 대해 사색한 결과이다. 
저자의 인간에 대한 시선은 냉정하고 염세적이다.  저자의 행복에 대한 관점은 나도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었기 때문에 반가웠고,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 시간과 순간에 대한 통찰 등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나에게는 어려운 내용들이었다.
그리고 뭣보다 희망에 대해 얘기하는 저자를 봤을 때 카뮈의 "이방인" 이 떠올랐다.
이방인 읽을 때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어서 헤맸는데 내 머리속에선 묘하게 겹쳤다. 더 나아질 수있다는 기대나 희망을 버리고 난 후의 나. 아무것도 남지 않은 상태의 나. 그게 진짜 나라는 저자의 말이, 행복은 감정이 아니라 존재 방식에 달려있다는 저자의 생각이 행복에 중독되어 있는 이 시대에, 그리고 희망에 중독되어 있는 나에게 던지는 메세지가 있었다.
과연 나는 감당할 수 있을까. 아무것도 남지 않은 나를.


결국 브레닌은 죽었다. 죽은 후에 쓴 책이 당연한데 난 그 파트를 읽기 싫었다.
그런데 자연스럽게 죽음에 대한 얘기가 나왔고, 난 울지 않으려고 애썼다. 왠지 모르게 나이들면서 죽음 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눈물이 났다. 내게 죽음이란, 영원한 이별이란  두려운것, 슬픈것인가보다. 그렇다고 생은 행복한가?


이 책을 읽는동안 몇번은 웃었고, 몇번은 머리가 아팠으며, 흥미진진했고 한번 울었다.
다시는 없을 경험을 한 그가 부럽기도 하고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렇게 대단치 않다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