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연한 경로를 통해 읽게 되었는데 너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내가 읽기에는 난해한 면이 없지 않았으나 무지한 나라도 이 책이, 이 저자가 시대를 통찰했다는 생각을 금할수가 없었다.

왜 이  사회가 우울한지에 대해 깊이 있는 진단을 내린것 같다.




난 그닥 긍정적인 인간상은 아니고 무조건 네라고하는 인간들도 좋아하지 않는 편이다. 정확히 말하면 무한긍정을 말하는 사람을 싫어한다.

그러나 사회가 점차 사람을 호감, 비호감으로 나누고 부정적인 말들을 하는 사람에 대한 불편함, 거부감을 나타내서 뭔가 비판적인 말을 할 때 눈치를 보고 해야 한다.

비난이 아니라 비판이고, 단지 yes 가 아닌 no 로 했다고 해서 당장 나를 뭔가 대하기 힘든 사람, 부정적인 사람으로 대하는데 난 정말 진저리나게 익숙하다.

적당히, 내 신념(?)을 건드리는 선이 아니라면 이젠 유유자적 웃고 넘어갈 나이가 되긴 했지만 말이다.

난 저자의 "긍정성의 강요"를 이런식으로 받아들였다.

no 라고 할 수 없는 사회, 뭐든 할수 있다고 해야 할것 같은 사회, 그래서 다들 비슷해지는 사회말이다.

부정이 존재하지 않으니 나와 너가 다름이 없다. 누구든 yes 라고 외치니 왠지 나도 그래야 할 것 같은 묘한 압박감이 존재하는 사회.

그래서 피곤한 사회.





"우울증은 성과주체가 더 이상 할 수 있을 수 없을 때 발발한다. 그것은 일차적으로는 일과 능력의 피로이다. 아무것도 가능하지 않다는 우울한 개인의 한탄은 아무것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사회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성과주체는 자기 자신과 전쟁 상태에 있다. ..우울증은 긍정성의 과잉에 시달리는 사회의 질병으로서, 자기 자신과 전쟁을 벌이고 있는 인간을 반영한다."




'깊은 심심함 '이라는 챕터에서 멀티태스킹이 인류의 퇴보라는 말이 나온다.

학생들을 보더라도, 내 주변을 보더라도 가만히 있을 수 없는 사람은 많다. 멀티태스킹이 만연하고, 진중하고 사색적인게 이상한 사회.

우리는 분명 멍청해지고 있고 하류로 가고 있다.




책이 어렵기 때문에 책 자체에 대해 말하기엔 배경지식이 얇은듯하다.

내가 이 책을 나의  best 안에 꼽은 이유는 이 책이 시대를 읽었기 때문이다.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의 진입. 면역학적 시대에서 긍정성을 강요하는 시대로의 변화.

타자가 사라져 버린 사회.

긍정성의 강요.  

왜 우울한 이가 그토록 많은가에 대한 답을 준게 아닌가 싶다.

그런데 해결책을 줬나? 싶다.

면역학적 시대가 낫다는 말을 하고 있는건지 잘 모르겠다.

무위의 피로가 답인가????

책 제목인 '피로사회'는 탈진의 피로사회가 아니고 무위의 피로사회인가????



"...무위를 향해 영감을 불어놓는 저 '오순절의 모임'은 활동사회의 반대편에 놓여 있다. 한트케는 거기 모인 사람들이 '언제나 피로한 상태' 라고 상상한다. 그것은 특별한 의미에서 피로한 자들의 사회이다. '오순절 -사회' 가 미래사회의 동의어라고 한다면, 도래할 사회 또한 피로사회라고 부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