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배신 - 왜 하버드생은 바보가 되었나
윌리엄 데레저위츠 지음, 김선희 옮김 / 다른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을 왜 공부의 배신이라고 넓게 잡았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건 명문대의 배신이지 공부의 배신은 아니지 않나?

읽는 내내 우리 나라 얘기가 아닌가 했다.

스펙에 모든걸 거는 것도  그렇고 학벌사회, 특권의식, 그들만의 세상등등, (사실 인간이 있는곳이 항상 이런건가 싶기도. 전엔 귀족사회였을테고)

저자는 명문대 학생들이 똑똑하지만 체제에 순응하는 양이 되는 현실에 대해 강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명문대학이 이런 양들을 길러내고 있다고 얘기한다.

아이비리그 학생들이 겪는 열정의 부재,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의 부재, 그리고 모든것이 돈과 연결되어 꿈 보다는 안전한 직장에 머무르려 하는 똑똑은 하지만 주체성은 결여된 양이 되버린 학생들에 대한 안타까운 현실에 대해 얘기한다.

 

 

 

공부의 배신이라고 해서 대략 예상가능한 이야기인줄 알았더니 시야가 넓고 현 시점에서의 교육이란 어때야 하는가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의미있는  내용이 많았다.

읽으면서 '풍문으로 들었소'의 한정호가 생각이 났다.

0.1 % 의 삶을 사는 그는 그렇게 키워졌고 그가 가진 특권이 당연하다고 여기며 남과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명문대에서 수많은 '한정호' 를 양산해 낸다고 하니 정말 큰일이지 않은가.

명문대에서는 리더를 키운다고는 하지만 대부분 졸업후 기업이나 변호사, 의사 안정적이고 확실한 곳만 선호한다고 한다. (투자한만큼 뽑아내야 하니까)

이것은 리더가 아니라 시스템에 잘 적응하는 사람들을 키워내는 거 아닌가???

 

 

생각하는 인문학에서 저자가 금융지식? 경제학? 이런걸 익혀야 한다고 했는데 (우리가 몰라서 타격을 많이 받았으니까) 그러고보니 그 머리좋은 사람들이 거의 그 쪽으로 진출한다고 한다. 펀드 이런쪽으로.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우리 모두 그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하진 않는다. 그게 이상한거고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대학 교육이 무엇인지, 앞으로 대학이 어떤 길을 가야하는지, 대학 가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과연 인문학이 답인가 라는 의문이 든다면 역시 이 책을 권한다.

저자는 빤한 설명으로 실망감을 안겨주지 않는다.

이 책을 통해 고등교육의 흐름을 알 수 있고 대학이 중요한지, 중요하다면 어떤 대학을 선택해야 하는지, 그리고 맹목적으로 대학 교육을 추종할게 아니라 비싼돈 주고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알 수 있을것이다.




언제나 드는 생각이지만 세상은 보이는것과 보이지 않는것 둘로 나누어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무슨 뜬금없는 생각인가 하겠지만 돈, 명예, 직업.... vs 영혼, 용기, 지성, 배려, 꿈, 이상...

자기다운 삶을 산다면, 자신이 서 있다면, 영혼이 꽉 차 있다면 굳이 외면에 집착하진 않을 것 같다.

외면이 중요하지 않다는 얘기가 아니라 끝없는 집착이나 탐욕 말이다. 멈추지 못하고, 만족하지 못하고 끝까지 가는거.  

상식적이지 않은 선까지 추구하는 것은 비어서 그런게 아닐까. 란 생각.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3780164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