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니맨 - 생에 한 번, 반드시 떠나야 할 여행이 있다
파비안 직스투스 쾨르너 지음, 배명자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심심할때 인터넷 서점들을 둘러보는데 이 책이 유독 눈에 띄었다.
"수련 여행" 이라는 단어가 아주 흥미롭게 다가왔다.
난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내게 여행은 좀 무리다.
다리 상태가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 걸을 수도 없고 행여 누군가와 같이 간다면 민폐를 끼치거나 아님 다리가 아파 짜증이 나서 싸우거나. 둘중 하나였다.
그래서 관광을 선호하는 편이다. 굳이 나간다면. ㅋㅋ
그냥 편하게,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어둠은 보지 않고 빛만 보는 그런 여행말이다.
 
 
 
이 여행은 중세 시대에 있었다고 하는데 무료로 재능기부를 하고 대가로 받는 것은 숙소와 식비 해결이다.
저자는 2년동안 5개의 대륙을 다니는걸 계획했다. 한 나라에 한달이나 두달, 석달은 넘지 않게 체류한다.
내가 또 하나 관광을 선호하는 이유는 장기간 있게 되면 일탈이라는 판타지에서 벗어나 현실을 보게 되기 때문이다.
즉 나의 관광은 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도구랄까.
그런데 저자의 여행은 일탈도 휴식도 아닌 배움의 장이다.
여러 나라를 거치고, 그 곳 사람들과 일하고 문화를 배우고 경험을 하며 진짜 그 나라를 체험하는 것, 인생을 배우는 것이다.
빛보단 어둠을 보는 것이다.
 
 
 
이 책은 다른 여행 책과는 다른 점이 목적자체가 다르다.
그냥  보러 나간게   아니라 수련의 과정이다. 가서 의미있는 일을 하기위해 노력하고 매순간 의미들을 남기기위해 저자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시도한다.
첨부터 끝까지 저자는 자신이 정한 수련 여행의 규칙을 어기지 않고자 노력한다.
여행중에 위기도, 그리고 멈추고 싶은 유혹도 찾아오지만 저자는 2년이란 기간을 무사히 마쳤다.
책을 읽는 중간에도 이 사람이 성장했구나..를 느낄 수 있다.
맨처음 중국에 떨어져 낯설어 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갈수록 생각은 깊어지고 세상을 보는 시선이 따뜻해지고 자기만이 아니라 전체를 보는 눈과 마음을 가지게 되는 것이 보였다.
즉 성장 여행기 라고 해야할까?
 
 
여행은 사람을 변화시킨다.
낯선 상황속에서 새로운 자신을 발견함으로써 말이다.
그런데 저자는 거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거다.
 
 
글로는 저자의 고생이 생생히 보여지진 않지만 아주 고생했을  것 같다.
길 위의 나그네.
나도 떠날 수 있을까?

 나의 관념이 산산히 부서지는 과정은 두렵지만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여행 이라면 가능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