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비 딕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 / 작가정신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모든 것은 빛난다." 를 읽고 보니 이 책이 궁금해졌다.
그 책에서 챕터 하나를 할애하여 이 책에 대해서 썼는데 그걸 보지 않았더라면 나에겐 그저 지루한 소설이 될 뻔 하였다.(알아도 지루하긴 했다. 너무 길어...700쪽 이라니요.)
내가 이 심오한 내용들을 이해할 교양이 부족하기도 하고 말이다.
고래 자체에 대한 설명들이 많이 나오고 중심이 포경선이다 보니 배에 대한 묘사들도 많이 나온다.
배를 타본적이 몇번 있지만 용어들도 낯설고, 고래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들이 지루하기 하고 해서 상당히 자세한 묘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내 머리속에선 상상이 되지 않았다. (사실 상상력이 좀 모자르다. 소설을 그닥 선호하지 않는 이유랄까.)
비유와 상징이 넘쳐나는 소설이다.
한줄 한문장 한단락이 의미가 없는 것들이 없다. 그래서 모든 문장에 집중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들었고, 예로 드는 이름들, 역사적 사실들, 철학가들..등을 안다면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을 것 같다.
물론 뒤에 설명들이 붙긴 하지만 말이다.
난 고래를 봤어나 싶기도 한게, 기억이 별로 없다.
그래서 고래에 아예 관심이 없는데 이책을 읽어보니 고래라는 생명체가 참 거대하고 신기한 존재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 속에서 향유 고래 한마리를 잡아 해부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묘사가 상당히 자세하지만 잘 상상이 되지는 않았지만 분위기는 무언가 아주 엄숙하고 숙연하고 죽여서는 안될 것 같은 것을 죽인듯한 느낌이 들었다. 감히 인간따위가 죽이다니..이런 생각이 들게 만드는 대목 이었다.
책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해도 정리도 안되고,,,아는 것도 없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든다. 뭔가 심오하구나..라는 생각. 고등학교때 도스토예프스키의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읽었었다.
그 어린 나이에 무엇을 이해했을까 싶지만 그때도 느낌이 이때랑 비슷하다. 와..뭔가 대단한 것을 읽었어. 라는 느낌.
그리고언젠가 다시 읽어야지. 아마 십년 주기로 읽으면 그때마다 다른 걸 느낄 수있겠다 싶었다.
지금도 비슷하다.
작가의 고매한 정신이 녹아든 이 책을 한번 읽고 뭔가 말한다는게 우습기도 하고 건방진 일이 아니겠는가. 말이다. ㅎㅎ
허무주의. 허무주의라...
나의 밑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