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독서를 어떻게 하면 좋은가. 어떤 책을 읽는게 좋은가. 역사책은 어떻게 읽는가. 어떤 마음자세로 읽어야 하는가, 왜 읽는가.....등등 독서에 관한 선인들의 말씀이 담겨져 있는 책이다.
책을 읽을때 좋은 문장들이 나오거나 하면 밑줄을 긋거나 책 페이지를 접어놓거나 하는 편인데 이 책은 읽다가 그러기를 그만두었다.
이유는 모든 글이 다시 한 번 보고 되새겨야 할 만큼 필요한 조언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번엔 이해가 안가거나, 몇번 더 읽어보아야 할 페이지만 접어놓았다.
일단 일독은 했고 앞으로 옆에 두고 조금씩이라도 계속 보고 싶어서다.
읽는 동안 '성학집요'를 읽었을 당시랑 비슷한 기쁨이 함께 했다.
그냥 마음이 좋았다. 뭔가 충만한 느낌이다.
좋은 책은 읽을 때 그런 느낌이 든다.
더 배워야지, 열심히 살아야지, 내가 가는 길에 대한 확신이 들고 기필코 이루리라 용기도 생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어디쯤에 있는가 계속 생각해보았다.
내 독서 수준은 어느정도고, 내가 뭐가 모자란지, 왜 이런 상탠지에 대한 점검이 되었다.
그리고 반성하는 마음이....ㅠㅠ
여태껏 내가 써 놓은 리뷰들을 다 지우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 헛살았다는 생각도 들고.
이런 생각은 전에도 했었는데 깨닫기만 하고 꾸준히 실행하지 않아서 또 이런 생각이 든게 창피했다.
그래서 옆길로 새기전에 이 책을 곁에 두고 조금씩이라도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학문을 하는 이유는 잃어버린 마음을 찾기 위해서라고 한다.
정신을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좋은 책을 항상 곁에 두어야 할 까닭이다.
서문에 이 말이 와닿았다.
'독서가 삶을 구원할 수 있는가? 그렇다.'
내게 되묻는다.
독서가 삶을 구원할 수 있는가......?
이 질문을 던져놓고보니 내 인생에 희망의 등불이었던건 독서였음을 깨달았다.
내게 책이 있어서 참 다행한 일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