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고 생각하고 연결하고 - 어떻게 생각의 힘을 키울 것인가
박형주 지음 / 북하우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가올 미래는 '연결의 시대' 가 될 것이다. 각각의 독자성을 살리는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협력하는, '융합'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 바로 '연결' 이다. 연결의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는 주어진 단순 문제를 잘 해결하는 사람보다 복잡다단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는 사람일 것이다. 즉 '생각의 힘'을 갖춘 작은 리더다."
-본문 중-

 

 

수학을 참 못했다.
초등학교때 처음 접했을 때부터 왜 기호로 표현해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하느라, 왜 저리 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없어서 이해할 수 없어서 그냥 포기했다. 수학이 내 인생의 걸림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ㅋㅋㅋㅋ
그런데 여러책들을 읽으며  내내 든 생각이 수학을 공부해야겠다는 거였다.
수학 문제를 푸는 것보다 그 과정속에서 길러질 '사고의 힘' 때문이었다. (아직도 못하고 있긴 하지만 ㅡㅡ;;;)


저자는 수학자이다.
수학자로서 우리나라 공교육이 수포자들 위한다고 교과과정을 줄이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알파고 출현에 대한 긍정적 기능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앞으로 교육이 어떤 점을 지향해야하는지도 명확히 밝히고 거기서 수학이 어떤 식으로 사용될지에 대해서도 얘기한다.
교육쪽에 있는 분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고 수학 선생님이 읽으면 더 좋을 것 같다.
저자가 수학의 기초 개념을 철학과 역사와 같이 엮어서 기원을 설명해주니 수포자인 나도 재밌었다.


"한 우물이 아니라 여러 우물을 파는 사람이 시대를 이끈다. 동질의 융합보다는 이질적인 것들의 충돌과 상호 극복이 판을 바꾼다. 인문학과 과학이 그러하다. -p.81-"
"통찰은 지식을 수평적으로 나열하는게 아니라 계층적으로 분류하는 능력이다. 방대한 지식을 습득해서 수평적으로 나열해 머릿속에 보관하면, 지식 사이의 상호연계나 맥락이 보이지 않는다. 주요 키워드인 총론과 그에 속하는 각론을 여러 단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면, 자기 앞에 닥친 문제의 맥락을 이해하고 그 상위 가치와 하위 지식의 연계가 보인다. 또 필요한 지식을 파악해 학습할 수 있다. -p97-"
"문학도, 수학도, 물리도 배운 학생들이어야 위대한 철학자와 과학자들에 대해 논하고 의미 있는 토론을 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번지르르한 수박 겉핧기식 말싸움이 될 것이다. 학생들은 철학을 배우면서, 그동안 10여년을 배운 각종 교과 내용들이 어떤 의미이고 역사적으로 어떤과정과 깨달음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혼란스럽고 단편적이었던 지식은 유기적인 지식 체계가 된다. -p174-"
"아무 관련없어 보이는 분야의 지식을 묶는 힘, 서로 다른 주장들 속에서 자신만의 길을 찾는 힘이 바로 통찰력이다. -p.231-"

 

 


이 책을 읽으니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더 깊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