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상의 심리학 - 예술 작품을 볼 때 머릿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오성주 지음 / 북하우스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리뷰를 작성하였습니다.
『감상의 심리학』은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우리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심리적 과정을 탐구하는 책입니다. 이 책은 미술 감상이 단순히 작품을 보는 것이 아니라, 감상자의 경험과 시선이 예술을 완성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저자 오성주 교수는 예술심리학을 바탕으로 감상이 느낌에서 출발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순간, 우리는 그림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들여다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각기 다른 작품은 우리에게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며, 어떤 작품은 즉각적인 감탄을 자아내고, 어떤 작품은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감상자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의해 설명되며, 우리의 인지와 감정이 작품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분석합니다. 예술심리학은 예술이 철저히 주관적이라는 기존의 관념에 도전하며, 감상자의 경험을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이 책은 감상자가 그림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과정이 아니라, 감상자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능동적인 심리적 과정으로 본다. 감상자가 없는 미술은 무의미함에 빠질 수 있으며, 감상자의 경험이 예술을 완성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이 책은 미술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감상 전략을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미술관을 한 번 휙 둘러본 뒤, 마음에 드는 그림으로 돌아가 집중적으로 감상하는 방식이 능동적인 감상을 돕는 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감상자가 작품을 더 깊이 이해하고, 예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책의 내용 중 하나인 라인 드로잉은 예술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우리의 시각적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잘 설명해줍니다. 라인 드로잉은 자연계에서 존재하지 않는 간결한 형태로, 우리의 뇌가 자연적인 장면을 인식하는 방식과 유사한 신경 반응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선이 물체의 경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는 우리의 시각적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라인 드로잉은 예술가들이 경제적이고 강력한 표현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한편, 정점 이동이론은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3D 모델의 정점을 조작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술은 캐릭터나 물체의 움직임을 더욱 현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기술은 예술과 과학의 결합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감상자의 시각적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총평하자면, 『감상의 심리학』은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우리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심리적 과정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며, 감상자가 예술을 완성하는 주체임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감상자가 자신의 감각과 경험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돕고, 예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미술과 심리학을 모르는 사람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친근한 어조로 설명합니다. 저자 자신의 경험과 감상을 곁들여 독자들이 자연스럽게 미술과 심리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미술에 문외한이라도 예술 세계와 친해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