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 - 현대 물리학의 존재론적 질문들에 대한 도발적인 답변
자비네 호젠펠더 지음, 배지은 옮김 / 해나무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는 현대 물리학의 한계와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도발적인 책입니다. 저자 자비네 호젠펠더는 물리학자들의 대담한 이론과 가설들이 과연 과학의 영역에 속하는지, 아니면 단순한 추측이나 믿음에 불과한지를 날카롭게 분석합니다. 저자는 현대 물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며, 과학과 '무과학(ascience)'을 구분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 그에 따르면, 과학은 관측과 실험을 통해 검증 가능한 이론이어야 합니다. 반면 '무과학'은 증거가 없어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는 가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다중우주론이나 초기 우주에 대한 일부 설명들이 사실상 '무과학'에 해당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처럼, 이 책은 상대성이론, 빅뱅이론, 양자역학, 시뮬레이션 우주론 등 현대 물리학의 핵심 이론들을 다루며, 각 이론이 과학적 방법론에 부합하는지 세밀하게 검토합니다. 특히 저자는 물리학자들이 수학을 도구가 아닌 실재로 인식하는 경향을 비판하며, 이는 과학적 탐구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자는 스티븐 호킹, 숀 캐럴, 카를로 로벨리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의 주장도 예외 없이 비판적으로 검토합니다. 그는 이들의 이론 중 일부가 과학이라기보다는 믿음에 기반한 추측에 가깝다고 지적합니다. 이는 현대 물리학 연구의 일부가 과학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그의 핵심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나아가, 저자는 단순히 비판에 그치지 않고, 팀 파머, 데이비드 도이치, 로저 펜로즈, 지야 메랄리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현대 물리학의 쟁점들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자는 물리학이 종종 철학적 개념과 맞닿는다는 점도 지적합니다. 이원론, 환원주의, 창발성 등의 철학적 개념들이 물리학 이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과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 사이의 경계를 탐색합니다.






이처럼,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현대 물리학의 거대한 질문들을 일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한다는 점입니다. 다중우주, 시간의 본질, 의식의 문제 등 난해한 주제들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풀어냅니다. 동시에 이런 이론들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독자들이 과학적 주장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 책의 주장이 모든 물리학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저자의 비판이 때로는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보수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과학의 발전 과정에서 검증되지 않은 가설이나 이론적 추측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기준이 과학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될 수 있습니다.






총평하자면,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는 현대 물리학의 성과와 한계를 균형 있게 조명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과학적 사고의 본질을 되돌아보게 하며, 물리학의 거대한 질문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물리학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뿐만 아니라, 과학철학이나 과학사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에게도 새로운 통찰을 줄 수 있는 가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리학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이라면 일독해 볼 것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리뷰를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