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가 두려운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 스스로를 과소평가하고 의심하는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
아티나 다닐로 지음, 김지아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패가 두려운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은 책의 제목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스스로를 과소평가하고 의심하거나 자신의 실수와 실패에 대한 공포와 불안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미국의 부부, 가족문제 전문 심리치료사로서 다양한 상담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통해,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며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인정하고 자신감을 갖는 대신, 불완전한 존재라는 믿음에 사로잡혀 완벽한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 자신을 혹독하게 비판하며, 실패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신의 실수를 숨기려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성향은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방해하며,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완벽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실패를 허용하며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자신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에게 자비롭게 대하며, 완벽함 대신 적극적인 노력과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자면, 우선 제1부에서는 완벽주의자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가면증후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합니다. '가면증후군'이란 자신은 남들이 생각하는 만큼 유능하지 않다고 믿는 현상으로써 주로 '부정적 자기 대화'를 통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부정적 자기대화는 내면의 비판자가 속삭이는 소리로 주로 자신이 무능하다는 감정을 유발합니다. 이를 통해 완벽주의자들은 쉽게 우울증 또는 불안감을 겪게 되는데, 자기 의심을 접고 신뢰를 높이기 위한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이러한 가면증후군에서 탈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어 이어지는 제2부에서는 제1부에서 설명한 가면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인 전략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결국 가면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가장 필요한 방법은 바로 '작기 성찰'인데 이는 내면의 비판자를 사라지게 하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온전히 받아 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가면증후군을 겪은 완벽주의자들은 자기 성찰을 통해 부정적 자기 대화로부터 제공되는 부정적인 메세지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내면의 비판자가 속삭이는 메세지가 거짓이라는 사실을 알게되는 순간 '자기 자비'의 메세지를 받아 들일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생기게 되고 이를 통해 나로도 충분하도고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이 책의 장점 중 하나는 위의 사진과 같이, 독자에게 질문을 하고 독자가 스스로 자가 진단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있어, 책을 단순히 읽는 것 만으로도 심리전문 상담가와의 면담을 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어 보다 진지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신에 대한 진단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스스로 발견해 볼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 뿐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적인 성향은 모든 사람에게 있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고, 실패를 허용하며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모든 사람이 발전하고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책은 저자의 연구와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라서, 독자들이 책의 내용을 따라가기만 해도 완벽주의와 이에 해결 방법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각 장마다 다양한 진단 예시와 핵심정리를 제공하여 실제로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현재 자신이 완벽주의자라고 느끼고 있거나, 항상 자신을 누군가에게 증명해야만 한다는 강박증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반드시 일독해 볼 것을 추천합니다. 어쩌면 당신을 괴롭히고 있는 것은 타인의 시선과 평가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자발적인 의심과 불만족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무능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사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