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들러가 말하는, 나는 왜 자꾸 비교하는가
민유하.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9월
평점 :
* 출판서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 책 『아들러가 말하는 나는 왜 자꾸 비교하는가』를 집어 들었을 때, 마치 제 마음을 정면으로 건드리는 질문 같아 깊이 몰입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책은 비교와 열등감의 심리적 구조를 분석하고 그 속에서 나만의 기준을 세우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책을 보며
“비교는 감정이 아니라 해석이다”
우리는 흔히 비교를 단순히 질투나 열등감 같은 감정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그 뿌리는 해석의 방식에 있다는 점을 이 책은 강조합니다.
같은 상황을 두고도 어떤 이는 자책을 하고, 어떤 이는 동기를 얻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타인의 성공이나 성취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과 해석이라는 것이지요.
저는 이 대목에서 큰 울림을 느꼈습니다. 왜냐하면 저 역시 누군가의 좋은 소식을 들을 때마다 ‘나는 역시 부족한 사람인가 봐’라는 부정적인 해석을 반복해왔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그 순간을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라는 질문으로 바꾸어 보라고 말합니다. 부러움은 단순한 시기심이 아니라 오래된 욕망이 깨어나는 신호일 수 있다는 설명은, 그동안 스스로 외면해온 제 마음을 돌아보게 했습니다.

열등감에 대한 통찰
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으로만 생각하고 어떻게든 감추려 하거나, 반대로 과장된 자신감을 내세워 가리려 합니다.
저자는 그것이 오히려 더 큰 상처로 이어진다고 지적합니다. 겉으로는 당당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열등감에 흔들리는 모습, 저 또한 낯설지 않았습니다.
SNS를 통해 끊임없이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는 요즘, 우리는 상대방의 빛나는 순간을 전체로 오해하고 스스로를 낮추기 쉽습니다.
아들러는 이것이 성장의 에너지가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중요한 건 그 감정을 피하거나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직면하고 나의 욕망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저는 이 대목에서 작은 실천을 시작해봤습니다. SNS를 무심코 열었을 때 ‘왜 이 장면에 내가 흔들릴까?’라고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것이죠.
단순히 부럽다고 넘기지 않고, 그 감정이 내 안에서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해석하려는 훈련이었습니다.
‘나만 뒤처진 것 같아’라는 조급함에 시달린 적이 있다면, 잠시 멈춰서 나의 속도를 돌아봅봅니다. 세상의 속도가 아니라 나만의 리듬을 찾는 일이 결국 자존감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테니까요.
‘삶의 주도권을 회복한다’
우리는 종종 외부의 기준에 갇혀 스스로의 삶을 설계합니다. 나이, 직업, 성취, 심지어는 누군가의 인정까지도 마치 나의 가치를 증명하는 도구처럼 여기곤 하지요.
책은 묻습니다. “이 선택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저는 이 질문에서 큰 울림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제 선택들이 과연 제 욕망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타인의 기대에 끌려간 것이었는지 되돌아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들러의 관점은 ‘나는 나답게 살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집니다.
우리는 누구와 경쟁하거나 앞서야만 괜찮은 존재가 아니라, 지금의 나로도 충분히 존중받을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이지요.
저는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말을 조금은 마음 깊이 받아들일 수 있었습니다.

마무리
이책은 일상에서 반복하는 비교의 순간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일지를 알려주는 실질적인 지침서였습니다.
타인의 시선에 쉽게 흔들리며 스스로를 자주 평가절하하는 분들, 혹은 열등감 때문에 자존감을 지키기 어려운 분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타인의 성취 앞에서 무너지는 대신, 그것을 나의 욕망을 확인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게 되었지요.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