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관타나모 다이어리
마비쉬 룩사나 칸 지음, 이원 옮김 / 바오밥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인간으로서의 존엄에 대한 갈망과 자유를 향해 외치는 목소리가 그저 희망의 울부짖음으로 멈추고마는 안타까운 현실이 살아가고 있는 곳이 있다.
관타나모 수용소..뉴스와 tv매체를 통해 보던 그 곳의 실상을 온전하게 자세히 알지는 못했던 단절된 감옥이었다. 각각의 격리된 수용소의 감방에서 그저 그들은 대부분 특정한 죄를 지은것도 없이, 어떤 이유도 없이 그 머나먼 타향에서 지구 반대편으로 끌려오고 만다.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길 원하지만 그저 고통만이 남아 있는 현실을 깨닫게 만들고 만다. 이 글의 저자인 마비쉬는 이들의 아픈 상처를 치유하고 오직 자유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바람을 이루어지게 하기위해 자신의 현실에 대한 불평을 떠나 직접 머라도 도움이 되고싶어 통역업무에 지원하게 된다. 
직접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수감자들을 변호할 수 있으리나는 희망을 함께 위안 삼으면서 말이다. 미국이란 강대국의 힘은 그저 힘 없는 나라의 국민들을 끌고와  자신들의  엇나간 신념을 강요하고 있다는 현실이 그저 답답해 보이고 안타까웠다. 
최소한 공정한 재판을 통해 자신을 방어할 권리를 갖게 지켜줘야할 것을 그냥 무시하고 그들의 결백을 주장할 기회조차 주지않는 무자비한 인권유린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죄악으로 남고말 거라 생각한다. 그저 이 곳을 악의 소굴로  치부하고 이루어 말할 수 없는 치욕과 모멸감, 학대로 그들의 자존심을 짓밟고 깊은 상처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이들이 과연 선을 외칠 수 있는 나라라고 말할 수 있을지...그저 의문만 남게된다.
인간의 권리를 말살시키는 이 사각지대가 과연 영원히 이대로 이어질꺼라 생각하는 걸까? 부시정권의 강경한 정책이었던 테러와의 전쟁은 결국 그 빛이 퇴색되고 말았다. 그저 전쟁으로 아무 힘없는 사람들이 더 깊은 가난에 빠져들고 가족과의 생 이별의 상처를 던져주고, 어떤 방법으로도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재앙으로 이들을 내몰고 말았다. 결국 수많은 인권변호사와 마비쉬처럼 열정적으로 이들 피해 수감자를 위해 투쟁한 노력의 결실로 많은 아프카니스탄인들의 석방에 많은 도움을 이끌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인들에게 이 곳의 진실을 알리고 지속적인 인권투쟁을 이어온 결과 부시 정권이 내몰리고 오바마 정권으로 교체된 것도 큰 의미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을거 같다. 오바마 대통령이 결정한 것처럼 빠른 시일내에 관타나모 수용소의 폐쇄가 이루어져 결백한 이들이 모두 원래 자유의 품으로 되돌아가길 간절히 기원한다. 
인권의 소중함을 새삼 다시 깨닫게된 소중한 시간이었고 더불어 거꾸로 역사의 시간으로 되돌아간 우리나라의 인권의 현 주소에서 국민을 외면하는 정부는 결국 국민의 소중한 투표로 심판받게 될 것이라 믿는다. 어떻게 국민과는 소통할 생각을 하지않고 독단대로 국민의 뜻을 거스르는 자신감이 나오는지...
과연 누구를 위한 이 나라가 존재하는지..한층 우리 국민의식이 더욱 성숙해져야 할 시간이 되야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