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가 그의 얼굴 표정을 보고 어리둥절해하는 사이 그가 부드러운 어조로 말했다.
"그게 뭐 어때서. 내게 좋은 생각이 떠올랐어. 저기로 나가면 기다란 복도가 있거든. 거기서 멋지게 춤을 추는 거야. 아무도 우릴 보지 못할 거야. 자, 날 따라와." - P83

"머리카락은 태우고, 드레스는 낡고, 장갑은 짝짝이고, 구두는 작아서 발목을 삐긴 했지만 우리만큼 재미있게 놀다 온 아가씨들은 없을 거야."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을 쓰는 행위 자체는 회사 생활의 다른 업무와 다를 바 없는 ‘노동’이지만, 실은 나는 글쓰기를 통해 일종의 ‘존재 증명’을 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소모적으로 남의 일을 해주고 있다는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져, 내 목소리로 나만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는 그 감각이, 수면장애를 앓으며 쪽잠을 자면서도 계속해서 돈을 벌어야 하는 나의 현실을 버티게 해주었다. - P204

강의를 위해 경기도의 한 대학으로 향하던 중이었고, 30년 동안 경기도에 거주했던 작가 송지현이 했던 말을 떠올리고 있었다.

"경기도인들은 인생의 30퍼센트를 대중교통에서 흘려보내. 때문에 경기도에 살면서 좋은 성격을 유지하기란 참으로 힘든 일이지." - P207

밥벌이는 참 더럽고 치사하지만, 인간에게, 모든 생명에게 먹고사는 문제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생이라는 명제 앞에서 우리 모두는 저마다의 바위를 짊어진 시시포스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나는 이제 더 이상 거창한 꿈과 목표를, 희망을 생각하지 않기로 했다. 내 삶이 어떤 목표를 위해 나아가는 ‘과정’이 아니라 내가 감각하고 있는 현실의 연속이라 여기기로 했다. 현실이 현실을 살게 하고, 하루가 또 하루를 버티게 만들기도 한다. 설사 오늘 밤도 굶고 자지는 못할지언정, 그런다고 해서 나 자신을 가혹하게 몰아붙이는 일은 이제 그만두려 한다. 다만 내게 주어진 하루를 그저 하루만큼 온전히 살아냈다는 사실에 감사하기로 했다. 그런 의미에서 나와 같이 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당신, 어떤 방식으로든 지금 이 순간을 버티고 있는 당신은 누가 뭐라 해도 위대하며 박수받아 마땅한 존재이다. 비록 오늘 밤 굶고 자는 데 실패해도 말이다. - P2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여러모로 한 대 얻어맞은 것 같은 기분이었다. 지가 뭔데 내 외모를 평가해. 살찐 사람 몸은 함부로 이래라저래라 해도 되는 건가. 게다가 긇지 않은 복권이라니. 상대방은 누구보다도 절실히 자신의 현실을 살아가는 중인데 타인이 왜 함부로 그 사람을 무엇이 되지 못한 존재로 구정하는 것인가.

평생 가까워질 이유가 없는 사람의 청첩장을 받아 들 때마다 나는 아득하고도 뜨악한 기분이 든다. 결혼을 하지 않은 한 40대 선배는 그동안 나간 축의금만 해도 웬만한 중고차 한 대 값이 넘는다고 토로를 할 지경이니, 청첩장을 둘러싼 일종의 자본주의적 배려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원고를 쓸 때마다, 고료가 입금될 때마다 마치 텅 빈 우주에 한 줌의 먼지가 된 것처럼 공허한 마음이 들고는 한다. 그래도 아직은 젊으니까 다행이야, 하는 생각을 하며 나를 달랜다. 그럴 때면 문득 스무 살의 그 어느 날 샤워 가운을 입은 채 내게 "Always be young"이라고 말했던 미국인을 떠올리게 된다.

그제야 태어나서 거의 처음으로 아무런 소속 없이, 오롯이 나 자신으로서 이 시간에 거리에 서 있다는 것을 절감했고, 그것은 무척 생경한 감각이었다. 언제나와 다름이 없는 평일 오후의 한낮인데 모든 게 달라져버린 듯한 느낌. 결국 내가 향한 곳은 다른 어느 곳도 아닌 집이었다. 가방이 무겁지도 않은데 이상하게 그렇게 됐다.

나는 매일 싸우는 것처럼 살아온 것일지도 모른다. 내 뜻ㄷ로 되지 않는 세상과, 나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사람들과, 어쩌면 그 무엇보다도 나 자신과 말이다.

때때로 나는 내 몸에서 지구를 발견한다. 무기질이 부족해 손톱이 잘 부서지고, 면역력이 떨어져 건선이나 지루성피부염 같은 만성질환이 생겨버린 내 몸. 필요하고 쓸모 있는 것은 부족하며, 온갖 쓰레기들이 꾸역꾸역 점령하고 있는 하나의 커다란 구조물을. 이 모든 악순환에는 결국 단 하나의 해결책밖에 없는 것 같다. 절제라는 단어로 정리할 수 있을,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이 때문에 나는 지금도 배달 앱을 켜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며, 오늘 밤은 기필코 굶고 자야지 다짐하는 중이다. 비단 나뿐만이 아니라 지구(?)를 위해서 말이다.

외적인 모습에 최선을 다한다는 게 어느 순간부터 일종의 허상처럼 느껴졌고, 내가 지금껏 가져왔던 쓸데없는 자기 강박의 연장선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매분 매초 더 나은 가치 기준을 만들어내는 자본주의사회에서 최선이라는 것이 존재할 리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는 단지 지난 시간을 기록하는 활동이 아니라 경험을 기반으로 끈질긴 사유와 해석을 이어가는 과정이다. 기존의 관념을 비틀어 존재를 자유하는 언어를 구사하고, 경험을 다각도로 해석할 때, 내가 쓴 글은 단지 개인적인 이야기에 그치지 않는다.

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도구가 노트북이나 노트, 펜이라면 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마음은 용기인 줄 모르는 용기가 아닐까. 내 숨을 막는 말, 한 번쯤 꼭 꺼내야만 하는 말, 누구보다 내가 먼저 이해하고 싶어 어렵게 꺼낸 말. 쓰는 만큼 가벼워지는 각자의 순간을 응원하는 마음으로, 나도 다시 용기를 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이 페스트와 인생이라는 싸움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은 그것을 깨달았다는 것과 그것을 기억한다는 것뿐이다.

도시로부터 들려오는 환희의 함성에 귀를 기울이면서 리유는 이 기쁨이 언제든 위협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이렇듯 기뻐하는 군중이 모르는 사실, 즉 책에서 알 수 있듯이 페스트 균은 결코 죽지도 않고 사라져 버리지도 않으며, 가구들이며 이불이며 오래된 행주 같은 것들 속에서 수십 년 동안 잠든 채 지내서나 침실, 지하 창고, 트렁크, 손수건 심지어 쓸데없는 서류들 나부랭이 속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때를 기다리다가, 인간들에게 불행도 주고 교훈도 주려고 저 쥐들을 잠에서 깨워 어느 행복한 도시 안에다 내몰고 죽게 하는 날이 언젠가 다시 오리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