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대단히 불명확하지만, 오로지 그만 이해할 수 있는 사적 언어는 없다. "언어는 물리적인 기호의 배열이 아닐 뿐 아니라 개인적인 정신작용이나 세계의 그림도 아니며, 일정한 생활양식과 규칙에 따라서 영위되는 행위이자 문맥에 의해 결정되는 일종의 게임이다. 아픔과 같은 감각은 사적이고 내밀한 것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한 언어는 공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는 비트겐슈타인에 의하면, 세상에 이해 못할 말은 없다. 읽어내려는 의지와 정보만 있다면 읽지 못할 아픔은 없다. 다만, 지구상 모든 인간이 각자 고유한 생체정보를 가지고 있듯, 그들이 구사하는 언어습관도 모두 다르다는 건 알아야 한다. 사람을 언어에 비유하자면 어쩌면 대한민국에는 5천만 개의 방언이 있다. - P367

좋은 판사의 덕목으로 여러 가지가 꼽히지만, 그중에서도 무지를 인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판사들이 다 아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소송관계인 중 판사가 가장 무지하다. 모르려면 차라리 완벽하게 몰라야 한다. 세상과 인간을 어설프게 아는 것은 편견일 수도, 위험할 수도 있다. - P381

어쩌면 판사도 그들처럼 뭍에서 유폐뙨 섬 같은 존재다.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 같기도 하다. 국민이라 불리는 태양 주위를 돌지만, 태양의 인력에 끌려가서도 궤도를 이탈해서도 안되고, 딱 그만큼의 자리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랑하지만 일정한 거리를 두고 꼿꼿이 홀로 서야만 하는 판사는 별이자 섬이다. 내 곁에 그런 별과 섬들이 있다. - P3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