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명한 것들과의 결별
김명인 지음 / 창비 / 2004년 10월
평점 :
그의 책에 실린 부분 중에,
"비평이란 단순히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과 평가가 아니라 비평가의 사회적 발언의 형식이기 때문이다. (...) 이런 비평가의 선택은 대게 자신과 세계관상의 친화력이 있는 작가와 작품으로 향해지는 게 보통이다.(p180)"
라는 문장을 읽고 곰곰히 생각해본다. 내가 느낀 것은 양식장에 관한 의문이었다. 아래의 질문에 답을 해야하는 것은 양식장의 이름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으로 회귀하는 것은 당연할 지도 모른다. 양식장 속에는 도다리도 살고, 광어, 우럭, 혹은 감성돔도 있다. 제각각 주인이 던져주는 사료를 먹고 무럭무럭 자라나는 고기를 떠올리는 순간, 나는 분명히 이 문제가 다가오는 수능의 사회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다소 엉뚱하기 까지한 나의 기발한 상상력이 발휘한 문제는 아래와 같다.
(2010 수능 사회)
오늘 날의 작가가 양식되는 양어장의 이름은 무엇인가?
1. 횟집
2. 출판사의 상업 전략
3. 비평가 입김
4. 책(처세술)
5. 경제사정
6. 유력신문사
7. 기자(나 데스크)의 바이오리듬
8.학연.지연. 인맥
9. 우연한 투고
10. 점집(작가의 성취는 우연 혹은 운명에 부쳐)
정답: 마음에 드는 숫자를 고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