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시간 ㅣ 창비시선 152
백무산 지음 / 창비 / 1996년 9월
평점 :
80년대-90년대 초의 노동문학이 과학적 진실의 선전, 행동을 위한 선동, 자본에 대한 비판, 풍자로서 자신의 영역을 구축했지만, 그것이 일면성을 벗어나려면 좀 더 큰 세계관, 우주관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그의 시집은, 첫 시집 이후 한동안 침묵하고 있던 시인이 결코 활동을 멈춘 것이 아니었음을, 자신의 세계를 넓히려는 사상적, 문학적 노력을 계속 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의 이 시집이 이전 백무산 시의 투쟁성이 탈각되어 완전히 새로운 경지로 갔다는 것이 아니다.
다음의 시행을 보면 백무산의 새 시편들이 그의 첫시집 <만국의 노동자여>의 연장선상의 발전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너와 나의 관계에도/ 아침에 먹은 밥상 위에도/ 국가의 질서가 고스란히 박혀있다/ 지배와 착취의 질서가 고스란히 박혀있다/ 부분이라고 전체보다 작은 것이 아니다'([모든 것이 전부인 이유] 중에서)
인용 시의 4행까지는 백무산의 예전 시를 보는 듯하다. 그것은 백무산이 예전의 당파적 사고를 버리지 않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의 사고가 좀 더 깊이 있게 변모하고 있다는 것은 바로 다섯째 행에서 나타난다. 전체를 통해 부분을 보는 것이 아니라 부분을 통해 전체를 봄으로써, 부분을 하나의 틀 속의 요소로 보지 않고 부분이 자체 소우주를 가지고 있음을 통찰하려는 자세가 나타나는 것이다.
그것은 이전 시에서 보여주었던 사회과학적 인식의 시적 변용이 아니다. 그것은 대상-부분에 대한 시적 통찰을 하겠다는 것, 또는, 불교적 통찰을 시도하겠다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래서 부분이 모여 전체를 이룬다는 사고에서 '모든 것이 전체'라는 인식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그의 눈을 가녀린 자연물들에게로 돌리고, 그 관찰을 통해 '운동의 힘'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게 만든다. 다음과 같은 시에서 '뿌리와 가지를 먹고 자랐으나/ 그들과 단절한 꽃을 보아라/ 우리의 경계는 그곳에서도 시작된다'([모든 것이 전부인 이유] 중에서). 그는 가녀린 꽃에서 단절의 힘, 혁명의 힘을 보게되는 것이다.
백무산의 시는, 노동문학의 소생은 아마 좀 더 큰 세계관을 획득해야지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당파성을 버리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또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