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의 자본론 - 자본은 인간을 해방할 수 있는가 EBS 오늘 읽는 클래식
이재유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의 대중화를 위해 모인 철학사상연구회의 책이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이해하기 쉽게 썼을 것 같아 선택했다.

책은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자본론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 이해해야할 사상이나 개념 정의를 주로 설명하면서 칼 마르크스의 생애에 출고한 저서에 대해 설명한다. 유물론적 세계관에 영향을 준 것이 프랑스의 사회주의(생시몽, 푸리에)와 영국의 정치 경제학(애덤 스미스)과 독일의 관념론(유물론과 관념론을 종합한 헤겔의 변증법)이라고 하는데 벌써부터 심상치 않아 보인다. 2장은 <자본론>을 인용하면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사실 쉽지 않다. 따옴표로 표시한 원문과 저자의 설명이 섞여 있는데 복잡하다. 차라리 원문을 싣고, 쉬운 설명을 이어 나갔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3장은 마르크스가 영향을 받은 스미스의 <국부론>, 포이어바흐의 <기독교의 본질>,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엥겔스와 함께 쓴 <독일 이데올로기>, 후에 영향을 끼친 엥겔스의 <자연변증법>, 레닌의 <철학 노트>를 소개한다. 매우 짧은 소개라 따로 공부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마르크스는 처음에 자본, 토지재산, 임금노동, 국가, 대외정책, 세계시장의 6권을 계획했다고 한다. 앞 세 권만 <자본론>으로 엮여 나왔고 나머지는 쓰여지지 않았다. 미완성의 저서인 셈이다. 그리고 1권만 마르크스가 직접 저술한 것이고, 나머지 두 권은 엥겔스가 마르크스 사후 정리한 것이다.

봉건제의 영주가 책임져주던 사회에서 근대로 넘어오며 개인이 자신을 책임지는 사회로 탈바꿈하였다. 계약에 의해 관계를 맺는데, 장원의 한정된 곳이 아니라 넓은 시장에서 계약이 가능해졌다. 시장은 생존을 위한 필수품 교환장소로서 인간의 노동생산물이 상품으로 변하고 이 상품이 팔릴 때 생존가능한 곳이다.

노동에 의해 생산된 상품은 서로 교환될 때만 가치를 갖는다. 같은 가치여야 교환이 일어나고, 이러한 등가물 금속으로 금이 화폐의 기능을 한다. 상품이 화폐로 유통되는데 교환과정 중에 잉여가치가 발생해 자본이 축적된다. 자본가는 기계나 토지를 이용해 노동자의 노동시간을 늘려 잉여가치를 얻어 자본을 축적하는데, 노동시간을 늘리려는 자본가와 필요노동시간을 유지하려는 노동자간의 갈등이 시작된다. 나아가 자본가는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계화를 가속화하고, 적은 수의 인원으로 일의 강도를 높인다. 자본가는 잉여가치 일부는 개인이 소비하고 나머지를 다시 자본으로 만들고자 한다. 과잉생산되고 시장이 이를 다 소비하지 못하면, 공황이 오는 것이 자본주의의 특징이다. 마르크스는 근대 3대 계급이 임금노동자, 자본가, 토지 소유자로 구분된다고 정의하고 맺는다.

자본은 인간을 해방할 수 있는가?라는 책 제목을 다시 생각해본다.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는 자본주의 구조 속에서 축적된 자본은 분배를 통해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마르크스 시대보다 훨씬 고도로 기계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생산성은 고도로 높아질 것이고, 필요한 노동자수는 그리 많이 필요하지 않지만, 노동하는 사람들은 고강도로 힘들어 질 것이다. 마르크스가 주장한 대로 혁명을 통한 자본주의의 구조적 변화를 이루기는 어려워보이고 분배의 과정이 재고된다면 자본이 인간을 해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어려운 책이다. 관념론과 경험론자들의 철학을 비판하며 실천적 유물론을 확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용어부터 내용이해가 쉽지 않다. 좀더 쉬울 수는 없는지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