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사진에 박히다 - 사진으로 읽는 한국 근대 문화사
이경민 지음 / 산책자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기계문명의 발전 속에서 상실해버린 아우라의 문제는 근대 지식인들이 가장 천착했던 고뇌 중 하나다. 문명으로 대표하는 기계들이 결국 사람들을 황폐하게 만들고 있다는 우려는 결국 기계문명이 인간을 대신하게 되면서 빚어지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이는 노동의 시장에서 극명하다. 그러한 노동의 세계를 제외하고 기계문명과 아우라의 문제를 가장 극명하게 노출하는 것이 바로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개항이래로 조선땅에서는 사진이 영혼을 훔친다는 이야기를 누구나 들고 내뱉던 말이기 때문이다.

「경성, 사진에 박히다」는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사진이 정착하면서 생겼던 사회현상들에 대한 보고이다. 유행처럼 떠도는 경성의 이야기보다 사진에 집중하고 그 이야기들을 재구성했다. 그것은 최초라는 수식과 함께 낯설음으로 다가온다. 모든 낯선 것들에 대한 거부감은 그 시대상황이 불안할 경우 극도의 혼란으로 표출된다. 책 표지의 어여쁜 여인과는 딴판으로 사진과 관련된 이야기는 다채롭다. 일제 강점기 감시의 수단으로 사진을 찍기도 했고, 그 자신의 영혼이라고 생각해서 사진자살 행각을 벌이기도 하며, 안중근의 사진을 보고 송학선은 의거를 행하기도 한다. 매개체의 새로움 탓인지 신분을 벗어나고 싶었던 권번의 세련된 모습이나, 조선의 영웅으로 현해탄을 넘었던 비행조정사 안창남의 비극들은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사진만이 가질 수 있는 성찰과 현실성을 잘 보여준다. 한 가지 이 책이 아쉬운 것은 그 다채로운 내용을 좀 더 짜임새 있게 만들어주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어쩜 그것이 개화와 식민지 시대의 스산한 풍경처럼 의도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