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어내고 비움이 곧 수신이다 '산택손괘'
무릇 스스로 덜어내는 자는 필히 더하게 될 것이고,
스스로 더하려는 자는 필히 무너지게 될 것이다.
≪공자가어 육본≫ 8장에도 비움이 곧 새로운 채움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공자의 이러한 말들이 오십을 위한 조언이다.
주역에서도 낙천인 오십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힘 빼는데 3년, 힘주는 데 3년은 직장이나 운동 등에 개입해야겠다. 너무 몸에 힘이 들어가 있으면 도리어 일이 되지를 않는다.
≪오십에 읽는 주역≫
인생의 절반쯤 온 오십일 때 왜 주역을 읽어야 하는가?
오십이 샌드위치 나이기 때문이다.
시시각각 변화되는 삶에서 중간에 끼인 상황이 가장 힘들고 어렵다.
실력도 쌓아야 하고 호감도 챙겨야 하는 여기저기서 두들겨 맞는 샌드백 자리이기도 하고
무언가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야 잘 살고 있는 것 같은 무력감도 느끼는 위치이다.
강기진 저자는 주역을 빌려 위기가 바로 기회이며 지옥이 누구에게는 희망에 자리임을 말해주고 있다.
원효대사의 '일체유심조'처럼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문장처럼
내가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세상은 축복의 자리가 되지고 하고 지옥불의 자리가 된다.
사람의 나이 오십은 지금까지 축적한 인생을 정립하고 부지런히 세상에 새겨 나갈 소중한 시기이다.
오십 전에는 외면에 힘을 쓰고 오십 후에는 내면에 힘을 써야 하는 진리가 주역에서 말해주고 있다.
육체가 불멸하지 않고 나이가 들수록 죽어가는 이유는 바로 후반에 갈수록 내면에 힘쓰라는 깊은 뜻을 몸소 느끼라고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치를 알지 못하면 무기력증에 빠져 오십의 위기를 않게 된다.
≪오십에 읽는 주역≫에서 나를 바라보니, 비움과 내려놓음을 실천해야 함을 느끼게 된다.
주역을 읽으니 세상은 공짜가 없고 총량의 법칙처럼 운이 더 좋아지기를 바란다면 그 대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운이 지금보다 더 강해지고자 하면 더 큰 스트레스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사람이 견딜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선다.
지금, 빛나기 위해 운의 비용 이자를 당겨서 고통을 받고 있는 것과 같다.
좌절, 우울, 괴로움, 고통을 미래에서 벌써 끌어서 나를 괴롭게 하는 건 아닌지,
타고난 팔자를 깨닫고 수용하면 운이 풀리지만 팔자를 거스르면 꼬여서 힘들어진다.
팔자가 꼬이는 것이 문제이지, 사람의 팔자 자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주어진 팔자대로 다 살아내지 못하는 것이 문제이며 자신의 팔자를 그대로 실현할 대 가장 뿌듯한 충일감을 느낄 수 있다.
산다는 것은 고통이지만 고통이 살아 있게 만든다는 말처럼 팔자가 꼬이는 것은 스스로 팔자로부터 도망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삶은 끊임없이 비우고자 하면 끊임없이 채워질 것이라는 진리를 깨닫고 더하기가 아닌 '빼기' 인생을 오십에는 꼭 맞이해야 한다.
지나친 것보다 만족함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
땅 위를 기어다닐 때는 하늘에 올라 비룡의 삶을 삶이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다고 생각했던 용이 막상 하늘에 오르고 나니 이제는 더 놓은 곳까지 오르고 싶은 욕심이 발동하고 그 욕심으로 인해 한 단계 더 높은 곳까지 올라간 용, 극상의 자리에까지 올라간 황룡은 끝내 추락하고 만다.
인생에서는 무엇이건 80%를 가지면 좋은 것이며, 사람이 나이 오십에 이르러 원하는 것의 80%쯤을 가졌다면 만족스러운 것이다. 나머지 20%를 가득 채우려는 욕심이 나를 황룡처럼 후회가 따르게 한다.
멈춰야 할 때 멈출 수 있어야 한다.
불행한 사람들의 대다수는 성취 자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과욕을 부린 사람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쉽사리 탐욕에 빠지는 우리는 적절할 때 멈추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지상 세계에서는 양과 음이 3 : 2로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삼양이음) 조화롭지 못하게 양 기운이 치우쳐 설계된 이유는 우리 인간에게 희망과 의욕을 주기 위함이다. 그 때문에 인간은 절망에 빠져도 희망을 부여잡고 다시 일어설 수 있다. 이처럼 긍정적인 작용을 위해 부여된 것이지만 동시에 부정적인 측면도 따른다.
하늘 계시를 깨닫게 되면 '지족상락'이 왜 중요한지 오십이 되기 전에 깨닫고 실천한다면 우리의 인생을 위태롭지 않을 것이다.
≪오십에 읽는 주역≫ 주역은 음과 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주론≫에서 말하던 핵심요소 '포르투나'가 생각이 났다.
포르투나는 '행운'과 어원이 같지만 단순한 행운이라기보다는 행운과 불운이 모두 포함된 '운명'이라는 개념이다.
행운과 불행은 하나다. 우리가 편하고자 구분했을 뿐 고난 속에 기회가 있고 기획 속에 고난을 맞기도 한다.
≪탈무드≫ 행운과 불행의 신은 함께 다닌다는 말처럼 우리는 균형 있게 삶을 살아가기 위해 애써야 한다.
주역은 음과 양으로 나눠 있지만 이는 하나이기도 하다.
세상을 살다 보니 가장 불행할 때 그 속에는 행복의 씨앗이 자라고 있음을 꼭 기억하고 주역을 읽어 하늘의 이치를 깨닫고 오십의 운명, 성찰, 경륜, 마음을 바꿔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