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한 끗의 차이에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이 있다'
상위 1%가 되는 직장인의 생각법칙
마음먹기에 따라 생각 한 끗은 언제든지 내 의지로 선택하고 결과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일을 대하는 나의 생각과 태도의 차이가 나를 상위 1% 만든다.
일을 맡으면 곧장 몰입할 수 있는지,
일의 경중을 따지고 일에 대한 이유를 찾기보단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태도로 바로 일에 몰두할 수 있는지
사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일에서 진정한 기쁨과 가치를 느끼는 것은 삶의 가치와 바로 연결된다.
매일 끝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나의 가치를 확인하고 인정받는 것이라는 말에 소름이 돋았다.
오늘의 평범한 일상이 특별해지는 것은, 바로 '멈추지 않고 꾸준히 일하는 수많은 오늘'이 있기 때문이다.
하루만 더 참아보고 버티면 다시 다른 동력으로 보답할 것이다.
힘들고 고통스러운 노동으로 일을 생각하지 말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경험하는 성장의 장으로 인식해 보자.
'열심히 일한다고 누가 알아주나?', 내 답변은 '내가 안다'이다.
컴퓨터를 켜기 전에 노트부터 펼쳐 '오늘 해야 할 일'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사소한 일에도 진심을 다할 줄 알아야 한다.
언제나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말하고, 특히 기승전결을 잘 찾아서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인간관계가 힘들어 해결책을 고민할 때, 우리의 1순위는 언제나 반드시 우리 자신어어야 한다.
직장생활이 피곤한 이유는 다른 사람들의 말과 행동에 불필요한 의미를 자꾸 부여하기 때문이다.
행동을 말보다 훨씬 크게, 훨씬 명확하게 하자.
익숙한 곳보다 새로운 곳을 찾아가자.
익숙한 환경에서는 새로운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즉 도전의식이 생기지 않는다.
편안하다고 느껴질 때 미래를 준비하지 못하면 반드시 위기가 찾아온다는 말처럼,
잘나가고 있거나 여유가 생겼을 때 오히려 더 바쁘게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평생 배움을 실천해야 젊음을 유지할 수 있다. 배우면 젊어지고 삶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을 위해 혼자만의 시간을 갖지 못하는 사람은 절대 일에서 성공할 수 없다.
자기 돌봄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오래가지 못한다. 힘이 부족해서 멈출 수밖에 없다.
나만의 시간을 갖고 충전하는 시간을 가져 세상과 싸울 수 있는 힘을 기르자.
내가 행복해야 직장도 가족도 모두가 행복할 수 있다.
즐거운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행복 찾기를 해야 한다.
소확행도 좋고, 감사일기를 쓰며 행복함을 느낄 수도 있다.
내 인생이 일단 즐거워야 힘든 직장 생활을 견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