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혹, 40세를 이르는 말이다.
≪논어≫<위정편>에서 세상일에 정신을 빼앗겨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르는 일이 없는
즉, 어떤 일이라도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왜 이리 흔들흔들하고 불안한지
≪김미경의 마흔 수업≫을 통해 마음을 단단하게 바로잡는 시간을 가져보자.
마흔 오히려 우울과 불안에 흔들리는 나이라는 사실을 수용했으면 한다.
인생의 중간평가를 하는 나이가 보통 마흔이다 보니
꼭 이때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실망하게 된다.
오히려 이만하면 잘 했다고 응원해 주자.
흔들리지 않는 자아를 갖는 시기가 마흔이다. ≪논어≫나오는 위인은 세상에 한 명 나올까 하는 천재이지 않은가.
즉, 나만의 속도로 나만의 가치관을 확립하게 되면 불혹(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가지게 되고
실패했을 때는 재도전 하면 된다. 인생은 모험생으로 살아가야 한다.
마흔에 모든 걸 이루고 안정을 찾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하자.
딱 절반만 해도 잘 한 것이다.
마흔은 완성되는 아니가 아니라 뭐든지 되다 마는 나이라는 문장에 공감이 갔다.
결과가 아닌, 과정을 살아가는 나이가 바로 마흔이다.
마흔에 함부로 인생을 정산하지 말자.
쉽게 좌절하지도 말자.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면 그뿐이다.
≪김미경의 마흔 수업≫을 읽으며 김미경은 40대로 돌아간다면 이렇게 살아가겠다고 응원해 주고 있다.
마흔은 안정을 원하는 나이가 아니다.
도전과 성장이야말로 마흔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러니 멈추지 말고 배움을 실천해야 하며
이때 해둔 공부가 평생을 먹고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무기가 될 것이다.
≪김미경의 마흔 수업≫을 통해 매일 나아진다고 자신에게 최면을 걸고 있다.
정년 퇴임을 하는 60,
존엄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자녀에게 투자하는 40이라는 나이일 때 내게도 열심히 투자해야 한다.
≪김미경의 마흔 수업≫에서는 돈이 매달 나오는 구조를 만들라고 말하고 있다.
돈이 나오는 구조를 약 20년간 노력해서 만들자 그리고 그때가 돼서 누리자.
40대 버킷리스트를 작성하여 기대심을 만들어 실천력을 키워야 한다.
마흔, 생활비가 아이들 교육비로 넘어가면 안 되고
60세 이후에 일을 위해 나에게 투자하는 교육비로 사용해야 한다.
자식에게 희생하는 것이 아닌 나를 위해 살아가야 한다.
MKYU 김미경 TV 영상을 보면
유독 김미경 저자는 책상을 많이 보인다.
밥상 같은 크기를 사용할 때도 있고
작은 한켠에 있는 책상을 사용할 때도 있다.
이는 자기만의 책상이 필요하다는 말과 같다.
퇴근 이후 성장 아지트가 필요하고 그 장소가 바로 책상인 것이다.
소파 하나를 치우고 그 자리에 책상을 두고 공부를 하니
아이가 자연스럽게 공부를 하게 되었다는 글처럼
배움의 아지트를 만들자.
비범한 비법은 역시 '꾸준함'이라고 말하고 있다.
매일 하루 1시간 나만의 시간을 가지라고 말하는 문장에서 ≪1만 시간의 법칙≫이 생각났다.
나의 의지를 믿지 말고 성장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는 환경을 만들어서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마흔, 은퇴를 미리 준비하는 나이로 활용하라.
회사에 다니고 있을 때 함께 준비하는 것이 지혜로운 사람이다.
은퇴를 위해 자산을 준비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자신만의 '브랜딩'을 구축하는 것이다.
명함은 회사 브랜딩일 뿐 퇴사하면 인맥도 다 끊기지 않던가.
나만의 무기, 몸값을 올려 나를 찾도록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무엇부터 해야 할지 곰곰하게 생각하게 된다.
마흔, 나답게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
자존감과 품격을 지키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돈과 철학이 필요하다.
약간의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세컨드 라이프를 준비하자.
돈이 나오는 파이브 라인을 구축하고
감사일기로 진짜 나를 만나는 시간을 가지자.
≪김미경의 마흔 수업≫ 한번 펼치면 12년 ≪언니의 독설≫이 아닌 따뜻하면서도
뼈를 때리는 자극으로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미래를 준비하게 된다.
40대 추천도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