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이는 하루, 그게 오늘이야 - 따분한 일상을 유쾌하게 바꿔줄 다이어리 북
레슬리 마샹 지음, 김지혜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았던 점

100가지 질문과 365개의 대답으로 나를 찾아가는 여행을 할 수 있다.

'누군가의 충고로 성장하는 하루라는 문장'으로 이야기를 건네고(읽고),

'내가 받은 충고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라는 답변(쓰는)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나에게 묻는 질문은 나를 향한 관심이 되고 위로가 된다.

자신을 기록하는 과정이 반짝이는 하루로 다가갈 수 있다.

삶의 변화는 오늘을 기록하고 자신을 기억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저자가 던지는 질문에 답변하다 보면 나의 가치와 긍정적인 에너지가 절로 생길 수밖에 없다.

'나'를 만나는 완벽한 고백을 글로 기록하면서 진짜 '나'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디자인과 색감이 이쁜 책, 들여다보고만 있어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책

특히 파스텔톤이 참 이쁘다.

인상깊은구절

우리의 몸은 정원이고 마음은 정원사다. 게을러서 불모지가되든, 부지런해 거름을 주어 가꾸든 그것에 대한 권한은 모두 우리 마음에 달려 있다. - 셰익스피어 p38

자신에 대한 존경, 자신에 관한 지식, 자신에 대한 억제, 이 세 가지가 생활에 절대적인 힘을 가져온다. - 알프레드 테니슨 p78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행복하게 하는 일들로 오늘 하루를 살아갑니다. p110

우리는 일 년 후면 다 잊어버릴 슬픔을 간직하느라고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을 버리고 있다. 소심하게 굴기에 인생은 너무나 짧다. -카네기 p158

익숙한 것을 새롭게 보는 연습이 필요해요. 가까이 있는 것에 새로운 의미를 담는 거죠. 한번 해볼까요? p164

알고 있는 예쁘고 긍정적인 단어를 불러 모아 나에게 붙여 보세요. 참 귀한 당신이니까요. p208

총평

외부로 향한 시선을 돌려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하는 ≪반짝이는 하루, 그게 오늘이야≫

하루 끄적임으로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참으로 감사하다.

글로 머리를 말랑말랑하게 해주고 글로 답변하게 하는 부분이 참으로 '상상'하게 한다.

100문 100답처럼 저자가 건네는 질문이 나를 알아가는 좋은 중 하나이다.

타인의 생각은 잠깐 멈추고,

나만의 고유한 영역을 생각하며 내가 어떤 사람인지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졌다.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지라고 말하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른다면

≪반짝이는 하루, 그게 오늘이야≫ 저자가 말하는 질문에 답변으로 행복한 하루가 될 수 있다.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것이 처음에는 참 어렵다는 생각을 했다.

'나'에 대하여 나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나 자신을 마주 보고 솔직해지는 연습을 ≪반짝이는 하루, 그게 오늘이야≫ 다이어리북으로 시작하자.

나에 대한 고민은 요즘 너무 안 하고 산 것 아닌지 글을 쓰면서 나는 이런 것을 좋아했지?라고 생각하게 된다.

자신의 속마음을 글로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쓰면 쓸수록 나를 응원하게 되고 위로받는 느낌이 든다.

매일 작성하는 'To Do List'를 지우기도 바쁜 세상 속에서

하루하루의 소중한 부분들을 기록하며 나를 만나보자.

반짝이는 하루가 지금 이 순간이고 그날이 바로 오늘이다.

자신을 알고, 신뢰하고, 사랑할 수 있는 과정을 담은 ≪반짝이는 하루, 그게 오늘이야≫ 책은

좋은 명언과 때로는 위로를 건네고 주어진 질문에 자신만의 이야기로 채워 내려가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오롯이 나만의 이야기로 솔직하고 담백하게 적어갈수록 '적자생존 = 적는 자만이 생존한다' 할 승률이 올라간다.

일기 쓰기와 다르게 진짜 '나'를 만나기 위해서는 좋은 질문을 해야 하는데,

임상사회복지사로 25년간 활동한 레슬리 마샹 저자가 툭 돌은 던진다.

금방 읽고 사색하는 책이 아니라,

하루하루 조금씩 읽어나가며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으로 힐링할 수 있는 다이어리북이다.

책이 나에게 하는 질문

서로 다른 크기의 망원경으로 세상을 보고 있는 것이죠 p256

나의 잣대로 평가해선 안 된다.

서로 다른 리듬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뿐이니

굳이 분노하거나 그냥 한 말을 간직하느라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지 말자

인생에는 의미가 없지만

우리 각자에게는 의미가 존재한다.

우리는 그 의미를 살려내야 한다.

나 자신이 해답을 가지고 있는 질문을 묻는 것은 시간 낭비이다.

우리는 질문을 통해 나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다.

우리는 사색을 통해 깨달은 이해로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

타인의 시선은 잊어버리고, 삶이 내게 건네는 말은 무시하지 말자.

서로 각자 크기의 망원경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사는 것처럼,

각자 경험 축적이 다르고 느끼는 바가 다를 수밖에 없다.

결국 우리 인생은 되돌릴 수 없는 복잡계 안에서 흐름을 즐기며 있는 그대로 살아야 한다.

"인생은 놀이터일 뿐이다" <미스터 노바디> 영화 대사처럼

지금 이 순간을 즐기고 감사해야 한다.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면 결코 문제를 풀 수 없다.


'미디어숲'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읽고 작성했습니다.

평소 관심 있는 분야의 도서만 신청하여 서평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