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일잘러 - 일하는 사람 말고 일 ‘잘하는’ 사람
유꽃비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았던 점

안 맞는 사람을 굳이 이해하고자 노력하지 말자.

결국 아무리 애를 써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은 있기 마련이다.

누군가를 싫어하는 마음조차 자신에게 해가 된다..... '그러려니'하는 마음을 가져보자.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하고 내 길만 가는 거다. 굳이 감정과 에너지를 소비할 필요가 없다.

나를 괴롭히는 사람 뜻대로 되게 놔주지 말자.

괴롭히는 사람 생각에 밥도 못 먹고, 잠도 못 자고 상처받고 힘들어하지 말자.

생각처럼 쉽진 않지만 유꽃비저자 생각을 나도 했었고 지금도 그 마음은 변함이 없다.

나를 괴롭히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야말로 내가 잠 못 자고, 속상해하고, 눈물 흘리는 것이 아닐까!

내 소중한 시간을 싫어하는 사람 때문에 괴롭게 허송세월 한다는 게 너무 억울하고 나 자신에게 미안한 마음이다.

나를 괴롭히는 사람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게 반항도 하고 할 말은 이성적으로 명확이 전달도 하면서 자신을 지키면서 일하자.

실수를 사랑하자.

첫인상이 좋으면 실망이 큰 법이다.

첫인상이 안 좋으면 많은 에너지와 돌아가는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지만 오해(?)가 풀리고 나면 더욱 믿음직한 관계가 될 것이다.

누구나 실수를 한다. 그 실수를 통해 혼자 고립시키는 사람도 있고 실수를 밑거름 삼아 더 성장하는 사람도 있다.

즉 어떻게 실수를 처리하느냐에 따라 나를 또는 상대를 내 편으로 끌어올 수도 있고 한 층 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실수를 오히려 기회 삼아 노력한다.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 질책하고 화 내봤자 상황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고 해결이 먼저임을 알고 움직이는 과정들이 멋있고 나 또한 그렇게 살아가기를 희망하게 한다.


인상깊은구절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에 대해 크게 연연하지 말자.....그렇게 사는 것은 곧 내 인생의 운전대를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것과 같다. 나를 좋아해 주는 2명을 제대로 챙기기에도 바쁜 인생이다.

죽도록 싫은 상사 때문에 퇴사나 이직을 고민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항상 하는 말이 있다. 우리가 선택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부모나 상사가 비슷해 보이지만, 상사는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생각만큼 우리에게 관심이 없다. 업무도 마찬가지다. 지시한 사람은 제대로 된 결과물만 원할 뿐, 누가, 어떻게 노력했는지 크게 궁금해하지 않는다. 그래서 특히 회사에서는 스스로를 어필하고 홍보하는 것이 필수다.

중심을 지키고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한 번쯤은, 가치관을 희생해도 좋다는 것을 말이다.

작성한 TO DO LIST 뒤에 우선순위를 매긴다. 우선순위와 더불어 소요되는 시간, 장소에 따라 업무 순서를 정하고 동선을 정한다. 일별뿐 아니라 주별, 월별로도 작성해보자, 사실 분기별, 반기별, 연도별까지 세우는 게 최고다.

"상대방에게 어깨를 내어주고, 심장을 가져오라"고 우리를 가르치셨는데, 원하는 바를 관철시키기 위해서는 상사든 거래처든 상대가 원하는 바를 일정 부분 들어주는 희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본인 이름을 붙인 '처음처럼'을 받고 싫어한 전례가 없었다. 거래처 송년회 때, 참석자 중 가장 높으신 분이 성함으로 라벨을 제작해 갖다 드리면 백발백중 좋아하셨다.


총평

회사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고 노력해봤고 고민했을 내용들을 다루고 있어 힘이 되는 책이다.

일하는 사람 말고, 일 '잘하는'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말에도 크게 공감하는 바이다.

일은 열심히 한다고 해서 인정받고 성과가 좋은 것이 아니다.

일은 '잘해야'한다. 결이 좋아야 한다. 그런데 그게 참 어렵다. 특히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다.

저자가 말하는 일단 '까라면 까는 척'이라도 해야 한다.

사회생활 짬밥은 피눈물의 대개, 눈치껏 일하는 말이 뭔지 모르겠다면?, 될놈될의 하루, 될놈될의 마인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기본만 합시다, 우리 팀장님같이 될까 봐 무섭습니다. 멘탈 꽉 잡고 간다. 목차만 봐도 일 잘하고 싶은 사람이 되기 위한 이유, 가치가 궁금해지고 읽을수록 공감과 더불에 함께 응원하게 된다.

'내가 아직 해보지 않았을 뿐, 결국 못 해낼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태도가 우리에게는 필요하다'는 문장이 가장 와닿기도 했다. 다들 해왔던 것들이고 내가 처음일 뿐 비슷한 일들은 그동안 해왔다. 결국 잘 해낼 수 있을 거라는 긍정적인 마인드로 임하자. 프로일잘러란 걱정보다 실행해보고, 수정해가며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면서 성장해 가는 과정을 즐기는 사람이 아닐까.

책이 나에게 하는 질문

인간관계 말랑말랑 해지는 방법

일보다는 역시 사람 관계가 힘들다.

일잘러들은 감정보다는 이성적으로 행동하고 처리한다.

저자가 말하는 일잘러가 가져야 할 태도나 마인드도 충분히 공감이 간다.

각자 상황이 다르고 상대방에 기질이 다르듯 나 또한 내게 맞는 태도나 마인드를 가지고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손절하고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말랑말랑 해진다고 해서 내가 일방적으로 맞추어 준다는 말은 결코 아니지만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하는지는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

감정적으로 호소하는 것인지, 문제 해결은 원하는 것인지, 넋두리를 하는 것인지!

일 '잘하는' 사람은 '관계'에서도 끊고 맺음이 분명하다.

맞는 사람과는 친하게 지내고 이해가 되지 않는 사람을 이해하기보단 '그러려니'하며 살자.

내가 좋아하는 것에 시간을 더 보내자.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기쁨을 나누는 시간을 더 갖자.



책과콩나무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