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애인도 상처를 받거나 사회에 발 들이고 버티디가 참 어렵다.
정신재활시설 '송국'클럽하우스는 '정상화'이론 등을 실천하고 있는 해외에서 온 모델이다.
사회복지사가 정신장애인분들을 조사하고 통계 내서 이런 부분이 부족하니 이런 시설을 만들어 일명 사회통합에 기여하자는 사명이 아니다.
장애인들이 처음에는 소그룹으로 모여 살다가 이런저런 부분을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전문가가 필요함을 느끼게 되고 그래서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들을 채용하여 클럽하우스를 꾸리고 진행하게 된 것이 시초이다. 그래서 다른 정신재활시설과는 다르게 회원들이 업무를 하고 사회복지사가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정신장애인은 '송국'그곳에서 환영받고, 자신이 필요한 곳으로 느끼며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큰 도움이 되는 곳으로 성장하고 있다.
일반인들도 자신의 책을 출판하기 어렵다. 정신장애인이 출판한 책이라 더욱 무게감이 무겁게 느껴진다.
이런 책들이 더욱 많이지는 세상이 왔으면 하고 소망한다.
제목부터 ≪우리는 쫌 뾰족한 사람들이야≫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아픔이 전해진다.
비장애인도 돌아이, 4차원, 정말 모난 사람 등 많다. '김군'이 말하는 뾰족한 사람들은 일명 상대가 안 된다.
지금은 정신장애는 뭐 하나씩 안고 사는 세상이 아닐까 싶다. 두려움을 떨치고 사랑받으면서 세상에 많이 나와 뾰족한 대로 함께 살았으면 한다.
'김군'이 바라보는 세상, 정신장애인이 느끼는 세상, 정신장애인을 보조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사회복지사와의 정신장애인과 생활하는 모습 등 여러 가지 관점을 그리고 있다. 즉 송국클럽하우스에서 우리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누구에게나 역경이 있다. 그곳이 어디든 거기서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운다면 세상은 좀 더 뾰족하고 날카로워도 함께 소통하고 부딪치며 모가 둥글둥글 해지는 세상이 곧 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