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마음 - 내 아이의 수학 정서를 높이는 초등부모의 대화법
강미선 지음 / 푸른향기 / 2024년 5월
평점 :
일시품절


아이마다 다르겠지만, 저희 집 선아는 다행히도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예요.

숫자 퍼즐 맞추듯 문제 푸는 걸 즐기고,

가끔은 “이거 내가 새로운 방법으로 풀어볼까?” 하고

스스로 시도하는 모습도 보여요. 저는 그 모습이 참 대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 즐거움이 오래 이어질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들었어요.

그래서 만난 책이 바로 『수학의 마음』이에요.



💡 수학은 문제집이 아니라 대화에서 시작된다고?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다가온 건

“수학은 문제집보다 대화에서 시작된다”는 부분이었어요.

사실 저도 선아가 수학을 좋아하다 보니,

문제집을 더 챙겨줘야 하나 고민한 적이 많았거든요.

그런데 이 책에서는 부모가 아이와 함께 “왜 그럴까?” 하고

질문을 나누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해요.

선아는 이미 수학을 좋아하지만,

제가 무심코 던진 말이나 “빨리 풀어” 같은 조급한 태도가

그 마음을 꺾을 수도 있다는 걸 책을 읽으며 깨달았어요.

좋아하는 마음을 지켜주려면 점수보다 즐거움과 호기심

함께 키워주는 게 우선이라는 메시지가 저한테는 크게 와 닿았어요.




 

📖 엄마 마음에 남은 10가지 수학의 마음

1장에 나오는 “부모가 가져야 할 수학의 마음 10가지”는

선아랑 수학을 대하는 제 태도를 점검하게 해줬어요.

예를 들어, “아이 질문에 귀 기울이기”.

선아는 종종 “엄마, 왜 나눗셈에서 0으로 나누면 안 돼?” 같은

엉뚱하면서도 중요한 질문을 해요.

저는 가끔 “그건 그냥 안 되는 거야” 하고 넘어간 적도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그 순간이

아이의 사고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라는 걸 알게 됐어요.

또, “아이와 대화 주고받기” 부분도 공감했어요.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아이가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느꼈어요.

선아는 수학을 좋아해서 답을 빨리 찾아내는 편인데,

그 과정을 말로 설명해 보게 하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수학은 마음에서 자라는 나무

책에서는 수학을 단순히 “지식”이 아니라 머리를 키우는 과목이라고 말해요.

그 표현이 참 좋았어요.

선아는 이미 수학을 좋아하니까 ‘싫어하지 않게 만드는 것’보다는,

그 마음을 더 건강하게 키워주는 게 제 역할인 것 같아요.

이 책 덕분에 “앞으로도 아이가 수학을 즐겁게 이어가려면

부모의 태도가 중요하다”는 걸 마음 깊이 새기게 되었어요.



 

이 책은 단순히 “수학 공부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

부모가 아이와 수학을 대하는 태도를 다잡게 해줘요.

저는 선아가 수학을 좋아하는 덕분에 지금은 즐겁게 하고 있지만,

언젠가 사춘기나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는 순간이 오더라도

“수학은 원래 즐거운 것”이라는 마음을 잃지 않게 옆에서 돕고 싶어요.

『수학의 마음』은 바로 그런 방향을 제시해 준 책이에요.

선아가 수학을 좋아하는 모습을 보면서도,

엄마로서 마음 한켠엔 늘 “혹시 싫어하게 되면 어쩌지?”라는 불안이 있었는데요. 이 책을 읽으면서 걱정보다는 ‘즐거움을 지켜주자’는 다짐으로 바뀌었어요.

『수학의 마음』은 수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아이에게도,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에게도, 부모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