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골을 찾아서 ㅣ 샘터어린이문고 83
김송순 지음, 클로이 그림 / 샘터사 / 2025년 4월
평점 :
책을 읽고 , 선아가 조용히 물었습니다.
“엄마, 전쟁은 정말 끝난 걸까요?”
이 물음이 《바람골을 찾아서》를
선아와 함께 더 깊이 들여다보게 만든 시작이었어요.

《바람골을 찾아서》는 단순한 보물찾기 동화가 아닙니다.
주인공 현준이는 병든 할아버지를 위해 ‘보물’을 찾아 바람골로 떠나지만,
그 여정은 단순한 탐험이 아니라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상처,
그리고 기억의 의미를 마주하는 시간이 됩니다.

처음 이 책을 펼쳤을 땐 ‘할아버지의 보물’이라는 말에
선아는 큰 기대에 부풀었어요.
숨겨진 보물을 찾는 모험이 얼마나 신날까,
영화 속 한 장면처럼 상상하며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죠.
그런데 이야기가 중반으로 넘어가자 선아의 표정이 점점 진지해지더니,
어느 순간엔 눈가가 촉촉해졌습니다.

바람골에서 만난 새 형, 그리고 마을을 울리는 총소리.
이상한 옷을 입은 사람들, 이해되지 않는 언어, 그리고 계속 이어지는 추격전.
이 모든 것들이 아이에게는 현실감 없는 판타지처럼 다가왔지만,
그 속에 담긴 전쟁의 상흔을 서서히 느끼게 되었던 것 같아요.

“엄마, 현준이가 만난 새 형은 할아버지였던 거 맞지?”
“응, 맞아. 새 형은 할아버지의 젊은 시절이었을 거야.”
그걸 알아챈 선아는 한동안 아무 말이 없었습니다.
책 속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을 물었더니,
선아는 “새 형이 총을 들고 있던 손이 떨리는 걸 보았을 때”라고 했어요.
“전쟁이 정말 무서운 거구나,
무서운 영화보다 더 무서울 수 있겠구나” 하는 말을 하더라고요.

이 책은 초등 고학년인 우리 선아에게 전쟁을 가르친 첫 책이었고,
동시에 역사와 감정, 공감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게 한 소중한 시간이었어요.
단지 날짜나 전투 이름을 외우는 게 아니라,
“왜 전쟁이 일어났고, 누구에게 어떤 상처를 남겼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만든 책이었습니다.

또한 할아버지의 보물이라는 상징도 인상 깊었어요.
선아는 처음엔 진짜 금은보화를 상상했는데,
책을 다 읽고 나서
“그 보물은 아마도 할아버지의 마음을 치유해주는 기억”이라고 말했어요.
작가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판타지 요소를 적절히 섞으면서도,
전쟁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섬세하게 전달해준 점이 참 좋았습니다.

책장을 덮은 후, 선아는 전쟁에 대한 책을 더 찾아보고 싶다고 했고,
할아버지께 예전에 겪은 일들을 조심스럽게 여쭤보기도 했어요.
어쩌면 이 책이 우리 아이 마음속에도
‘보물’ 같은 흔적을 남긴 게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의미 있는 동화를 찾고 있다면,
《바람골을 찾아서》를 꼭 권해드리고 싶어요. 단순한 감동이 아니라,
오래도록 가슴에 남는 울림을 전해주는 책이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