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행동경제학 - 교과서에서 설명하지 않는 우리의 선택과 심리
김나영 지음 / 가나출판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소한의 행동경제학》을 읽고 나서,

“내가 고른 거 맞아?”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처음엔 책 제목이 좀 어렵게 느껴졌어요.

‘행동경제학’? 경제랑 행동이 무슨 관계지?

그런데 책을 펼치자마자 나오는 이야기들이 너무 현실적이라서 깜짝 놀랐어요.




 


마트에서 과자 하나 고를 때도, 학교 매점에서 어떤 빵을 살지 고민할 때도,

사실은 그냥 내가 원하는 걸 고른 게 아니라 ‘

눈에 먼저 보이는 거’나 ‘친구가 먹는 거’ 때문에 고른 거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게 바로 행동경제학이래요.

우리는 생각보다 이성적으로 고르지 않아요.

대신 감정, 상황, 주변 환경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선택을 한다는 걸 깨달았죠.


특히 재미있었던 건 ‘초두 효과’라는 실험이었어요.

똑같은 단어인데 순서만 바꿨을 뿐인데, 사람들은 전혀 다르게 느꼈대요.

저도 책에 나온 실험처럼 친구 이름을 순서 바꿔서 소개해봤는데,

진짜 느낌이 달랐어요! “우와, 진짜네?” 하고 혼자 감탄했어요.

말의 순서, 설명의 방식만으로도 인상이 바뀐다니 신기했어요.

또 ‘심적 회계’라는 말도 기억에 남아요.

사람들은 똑같은 돈이어도 어디에서 생긴 돈이냐에 따라 다르게 쓴대요.

예를 들어, 용돈으로 받은 5천 원은 아껴 쓰는데,

부모님이 그냥 준 5천 원은 금방 써버리는 거예요.

저도 생각해보니까, 친구랑 떡볶이 사 먹을 때 그런 적 많았어요.

같은 돈인데도 마음속 ‘돈지갑’이 따로 있다는 게 흥미로웠어요.

이 책을 읽고 나서

“아~ 나도 행동경제학 안에서 움직이고 있었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 책은 어려운 이론을 말하는 게 아니라, ‘내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그리고 그게 어떻게 반복되고 있는지를 알려줘요.

게임 아이템을 왜 꼭 사고 싶어지는지, 어떤 광고에 더 끌리는지,

왜 어떤 선생님 말은 더 기억에 남는지까지!

그냥 흘려보냈던 내 행동 하나하나에 이유가 있다는 게 신기했어요.

공부할 때도 ‘손실회피’ 효과를 활용하면 집중이 더 잘된다는 팁도 있었는데,

“지금 안 하면 나중에 후회할 거야” 같은 말이 진짜로 효과가 있다는 걸 알았어요.

그래서 요즘은 시험 공부할 때 스스로에게

“지금 안 하면 큰일 나!” 하고 자극 주면서 집중하고 있어요.

스스로를 설득하는 방법도 배운 느낌이에요.




 

책을 쓴 김나영 선생님이 실제로 중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라 그런지,

어려운 말도 친구처럼 쉽게 설명해 주셨어요.

만화나 퀴즈도 많고,

중간중간 나오는 실험들이 너무 재미있어서 책 읽는 동안 하나도 안 지루했어요.

오히려 ‘이건 나도 해봐야지!’ 하고 포스트잇 붙여가면서 읽었어요.

학교 공부 같지 않고, 생활 속 실험 같아서 더 좋았어요.




 

이 책을 읽고 나서 저는,

내 선택이 항상 내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됐어요.

이제는 광고를 볼 때도 “이거 나한테 초두 효과 쓰는 거 아냐?” 하고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돼요.

친구들한테도 “너 지금 손실회피 중이야~” 하고 장난치기도 해요.

이제는 선택할 때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됐어요.




 

경제를 잘 몰라도, 어려운 말 몰라도 괜찮아요.

내 마음과 행동을 알고 싶은 친구들, 자주 후회하는 선택을 하는 친구들,

이 책 한 번 읽어보면 정말 신기할 거예요.

진짜 나를 알고 싶다면, 《최소한의 행동경제학》 추천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