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까? 질문하는 사회
승지홍 지음 / 블랙홀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정치를 ‘어려운 것’ 혹은 ‘나와 상관없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사실 정치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 학교에서의 규칙, 환경 문제, 경제 정책, 심지어 우리가 마시는 커피 가격까지도 정치적 결정의 영향을 받는다.

책 정치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까는 이런 정치의 본질을 쉽고 흥미롭게 풀어내면서도, 우리가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고민하도록 이끈다. 정치에 대한 단순한 개념 전달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서다.


1. 당연한 것에 의문을 던지다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권력을 왜 나눠야 할까?’라는 질문이었다. 교과서에서는 삼권분립이 당연한 원칙처럼 등장하지만, 우리는 그 이유에 대해 깊이 고민해 본 적이 없을지도 모른다. 저자는 이런 당연한 개념들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독자의 생각을 확장시킨다.

몽테스키외가 삼권분립을 주장한 것도, 그 시대 사람들이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절대왕정에 의문을 품었기 때문이었다. 오늘날 우리도 민주주의, 선거, 시민운동 같은 제도를 당연하게 여기지만, 과연 이 제도들이 완벽한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대통령을 꼭 선거로 뽑아야 할까?

✔️ 투표한다고 세상이 달라질까?

✔️ 삼권분립이 정말 권력을 공정하게 만들까?

이런 질문들은 단순히 ‘알고 있는 사실’을 넘어, 정치를 스스로 고민하고 이해하는 힘을 길러준다.


 



2. 정치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정치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우리의 삶과 직접 연결된 문제다. 책은 기후 변화, 난민 문제, 핵무기 논쟁 등 우리가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이슈들을 정치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환경 문제를 생각할 때 우리는 주로 ‘플라스틱 줄이기’ 같은 개인적인 실천을 떠올린다. 하지만 책은 ‘한 나라의 정치적 결정이 환경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닐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결국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면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정치적 결단과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처럼 책은 정치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현실 속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임을 깨닫게 해준다.


 


3. 질문하는 것이 곧 정치다

이 책에서 가장 강렬하게 남는 메시지는 ‘정치는 질문에서 시작된다’는 점이다. 삼권분립, 민주주의, 헌법 같은 개념들은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왜 이렇게 해야 하지?”라고 질문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현재의 정치가 완벽하지 않다고 느낀다면, 그냥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


✔️ 내 삶을 더 나아지게 하려면 어떤 정치가 필요할까?

✔️ 지금 당연하게 여기는 법과 제도는 과연 최선일까?

✔️ 나도 정치를 바꿀 수 있을까?

이 책은 독자가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 나가는 힘을 길러준다. 그리고 그 과정이 곧 정치라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4. 우리는 모두 정치의 일부다

책을 읽고 나니, 정치가 더 이상 ‘어려운 것’이나 ‘나와 상관없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오히려 내가 살아가는 세상과 직접 연결된 것임을 실감하게 되었다. 그리고 우리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점도 깨달았다.


정치는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것이 아니다. 질문하고, 생각하고, 토론하는 모든 과정이 정치다. 그리고 우리가 던지는 작은 질문 하나가, 언젠가 세상을 바꾸는 큰 변화로 이어질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