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내면이 아이의 세상이 된다 - 소아정신과 최고 권위자 대니얼 J. 시겔의 40년 연구 결실을 담은 9가지 육아 법칙
대니얼 J. 시겔.메리 하첼 지음, 신유희 옮김 / 페이지2(page2)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와닿은 점은

“부모가 성장해야 아이도 성장한다”는 메시지였다.

아이를 키우는 일이 단순히 육아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부모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성장하는 과정이라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나는 그동안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했지만,

정작 나 자신의 감정과 과거의 경험을 깊이 들여다볼 생각은 하지 못했다.

이 책을 통해 부모의 내면이 자녀에게 그대로 전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부모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육아법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기억과 경험이 부모가 된다

책의 초반부에서는 기억과 경험이 어떻게 부모가 되는지를 설명한다.

부모가 어린 시절 경험한 것들이 현재의 양육 방식에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나 역시 아이가 떼를 쓰거나 감정적으로 폭발할 때,

내 부모님이 나에게 했던 방식대로 반응하려는 경향이 있다.

가령 “울지 마”라며 감정을 억누르게 하거나,

“이건 네가 잘못한 거야”라고 단정 짓는 태도를 보일 때가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부모가 자신의 기억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과거의 상처를 인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아이에게 무의식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려면,

나부터 먼저 나의 내면을 돌아봐야 한다.



애착과 유대감이 아이의 뇌를 형성한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애착(Attachment)이다.

아이는 부모와의 애착을 통해 세상을 배운다고 한다.

애착이 안정적이면 아이는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불안정하면 불안과 두려움 속에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부모가 자신의 애착 유형을 성찰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나는 원래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는 사람이니까” 혹은

“우리 부모님도 그러셨으니까”라고 단정 짓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위해서라도 나의 방식과 태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위안이 되었다.


이 책에서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를 회복하는 방법도 강조하는데,

‘균열과 복구’의 개념이 인상적이었다.

부모가 실수하더라도 아이와의 관계를 다시 회복하려 노력하면 된다는 것이다.

가령 화를 내고 아이를 야단쳤더라도,

이후에 “엄마(아빠)가 화를 내서 미안해.

네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할게”라고 말하면 아이는 안정감을 되찾는다.

결국 중요한 것은 완벽한 부모가 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진정한 유대감을 형성하려는 노력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부모의 자기 성찰이 육아의 시작이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크게 배운 점은,

부모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지 않으면

아이에게 무의식적으로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우리는 흔히 ‘아이를 위해 희생해야 한다’는 말을 듣지만,

이 책에서는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자신의 내면을 치유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을 돌보지 않는 부모는 결국 지치고, 그 감정이 아이에게 그대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부모가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아이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게 되었다.

부모가 쉽게 화를 내거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면,

아이도 불안해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감정을 건강하게 다루는 법을 배우게 된다.

결국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것이야말로,

아이의 정서적 안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완벽한 부모’가 아니라 ‘충분히 좋은 부모’가 되자

책의 마지막에서 강조하는 부분이 특히 마음에 남았다.

부모가 완벽할 필요는 없으며,

아이에게 ‘충분히 좋은 부모’가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많은 부모들이 “나는 좋은 부모일까?“라는 고민을 하지만,

이 책은 완벽해지려고 애쓰는 것보다 아이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유대감을 쌓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서 아이와의 관계에서 작은 변화들을 시도해 보기로 했다.

화를 내기 전에 한 번 더 깊이 숨을 쉬고,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인정해 주는 연습을 하고 있다.

“괜찮아, 울어도 돼”라고 말해 주거나,

아이가 속상해할 때 “그렇게 느낄 수 있겠구나”라고 공감해 주는 것이다.

또한 아이와 갈등이 생겼을 때 “엄마가 아까는 좀 화가 났지만,

네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할게”라고 먼저 다가가려 노력하고 있다.


 


이 책은 부모로서 완벽해지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다.

부모가 먼저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치유할 때, 아이도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결국 부모의 성장이 곧 아이의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 책은 육아뿐만 아니라 인간관계 전반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는 책이었다.



#페이지2북스 #부모의내면이아이의세상이된다 #부모성장 #감정육아 #애착육아 #자기돌봄 #충분히좋은부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